고려 건국 역사의 발자취를 걷다, 팔공산 왕건 길 트레킹 코스

( 미디어원 =구윤정 기자 ) 왕산 , 파군재 , 신숭겸 장군 … . 대구시 동구 지묘동에 위치한 산과 고개 , 사당의 이름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 이들은 모두 고려 태조 왕건 (877 ∼ 943) 의 동수전투와 연관이 있다 .

왕건은 신라를 공격해 신라왕을 죽인 후백제의 견훤 군사를 무찌르기 위해 출병했다가 927 년 동수 ( 현 지묘동 ) 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 이곳에서 왕건은 도리어 전투에 패하고 도망쳐 겨우 목숨을 건졌다 . 왕산은 왕건이 숨어 있었던 곳이어서 , 파군 ( 破軍 ) 재는 견훤 군사가 왕건의 군을 깬 곳이라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 이 전투에서 고려의 장군 신숭겸 (? ∼ 927) 은 왕건의 옷을 입고 견훤 군사를 유인해 싸우다 전사했다 .

그가 전사한 자리에는 신숭겸 장군의 넋을 기리는 사당이 세워져 있다 . 동구 해안동과 안심동은 동수에서 동쪽으로 도주하던 왕건이 적의 포위망을 벗어난 뒤 ‘ 얼굴을 펴고 ’( 解顔 ), ‘ 안심했다 ’( 安心 ) 는 데서 유래했다 .
이런 역사의 자취가 고스란히 남은 곳이 ‘ 팔공산 왕건 길 ’ 이다 . 역사를 더듬고 경치를 즐기며 등산도 할 수 있는 트레킹 코스다 . 팔공산 자락인 지묘동 신숭겸 장군 사당에서 동내동 동곡지까지 35 ㎞ 의 팔공산 왕건 길은 8 개 테마로 코스를 이룬다 < 표 참조 >. 용호상박 · 고진감래 · 구사일생 길에는 왕건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 왕건과 견훤이 맞붙고 ( 용호상박 ), 왕건이 견훤을 피해 고생 끝에 동쪽으로 도피 ( 고진감래 ) 했고 , 안심동에 이르러 목숨을 구했다 ( 구사일생 ) 는 내용이다 . 이곳에는 경치가 빼어난 곳이 많다 . 열린하늘길에선 팔공산의 능선과 대구 시가지를 볼 수 있다 . 왕건 전망대와 초례봉에서는 탁 트인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
트레킹 코스는 다양한 볼거리가 즐비하다 . 신숭겸 사당에 들러 장군의 삶을 살펴볼 수 있다 . 대구자연염색박물관 ( 중대동 ) 과 방짜유기박물관 ( 도학동 ) 에선 천연염색과 방짜유기 등 전통문화를 만날 수 있다 . 도동에는 천연기념물 제 1 호인 도동 측백나무숲이 , 평광동에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홍옥 사과나무 ( 수령 82 년 ) 도 있다 . 왕건 길의 또 다른 특징은 환경친화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 마을을 지나는 코스 일부를 제외하고 80% 이상이 흙길이다 . 좁은 길은 폭이 80 ㎝ 에 불과한 곳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