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공포로 항공업계 울상…매일 1만3000명 항공예약 취소

( 미디어원 = 구윤정 기자 ) 메르스 ( 중동호흡기증후군 ) 사태로 항공 예약 취소가 계속되고 있다 . 지난달 31 일 이후 하루 1 만 3000 명 꼴로 예약취소가 이어지고 있어 항공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

항공사들은 탑승객 숫자가 급감한 중국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 축소에 들어갔다 . 당장 2 분기 실적 하향 조정이 불가피한 가운데 다가오는 7~8 월 성수기에도 승객 감소가 예상된다 .

21 일 각 항공사에 따르면 메르스 사태로 항공 예약을 취소한 여행객이 하루 평균 1 만 3000 명에 달했다 .

대한항공 (003490)(37,850 원 2,150 +6.02%) 은 6 월 1~18 일 사이에 국제선 8 만 2000 여명 , 국내선 2 만 여명으로 항공예약 취소자가 10 만명을 넘었다 . 매일 5600 여명이 예약을 취소하고 있는 셈이다 . 아시아나항공 (020560)(6,090 원 290 +5.00%) 도 지난달 31 일부터 6 월 18 일까지 국제선 8 만 2982 명 , 국내선 1 만 4522 명 등 총 9 만 7504 명이 예약을 취소했다 . 하루 평균 5130 명 꼴로 대한항공과 사정이 비슷하다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뿐만 아니라 저비용항공사 (LCC) 인 제주항공과 진에어도 항공예약 취소로 발생한 지난달 31 일부터 지난 12 일까지 국제선 여객 기준 각각 2 만 1957 명 , 5222 명이 예약을 취소했다 . 같은 기간 티웨이항공은 3682 명이었다 . 에어부산은 6 월 1~18 일 1 만 700 명이 국제선 예약을 취소했다 .

6 월 둘째주 주말 항공사들의 일 평균 수송객은 5 월 마지막 주말 대비 약 20%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 이에 따라 항공업종의 2 분기 수익 하향조정은 불가피해졌다 .

통상 6 월이면 여름철 성수기를 앞두고 특가 프로모션 등이 활발하게 이뤄진다 . 하지만 항공업계는 성수기 마케팅은 커녕 기존의 노선의 항공편수까지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 대한항공은 중국을 오가는 30 여개 노선 가운데 17 개 노선 운항을 지난 18 일부터 다음달 17 일까지 한달간 감축하기로 결정했고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11 일부터 중국과 대만 노선 항공편 수를 줄였다 .

항공사 관계자는 “ 예약을 취소하는 것도 문제지만 7~8 월 여름 휴가를 위한 신규 예약이 주춤하는 것은 더 큰 문제 ” 라며 “ 성수기를 앞두고 메르스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 고 말했다 .

그나마 제주지역이 항공업계의 마지막 보루였지만 , 지난 18 일 141 번째 확진환자 A 씨가 확진 판정을 받기 전인 지난 5 일과 8 일 대한항공을 타고 제주 여행을 다녀왔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또다시 항공 여행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됐다 . 6 월 셋째주 들어 감소하기도 했던 취소건수는 다시 증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