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3월 중요무형문화재 공개행사 열려

173

문화재청 , 3 월 중요무형문화재 공개행사 열려
(미디어원=보도자료) 중요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 원장 강경환 ) 이 후원하고 한국문화재재단 ( 이사장 서도식 ) 이 지원하는 중요무형문화재 기 · 예능 공개행사가 3 월 따뜻한 봄과 함께 서울 , 경남 창녕 , 제주도 등에서 펼쳐진다 .

이달의 공개행사는 중요무형문화재 ▲ 제 25 호 영산쇠머리대기 (2.27.~3.1./ 경남 창녕군 영산면 무형문화재놀이마당 ) ▲ 제 26 호 영산줄다리기 (3.1.~3./ 경남 창녕군 영산면 무형문화재놀이마당 ) ▲ 제 71 호 제주칠머리당영등굿 (3.9. 및 3.22/ 제주 사라봉 칠머리당 등 ) ▲ 제 85 호 석전대제 (3.16./ 서울 성균관 대성전 ) ▲ 제 46 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3.17./ 서울 국립국악원 ) ▲ 제 9 호 은산별신제 (3.25.~30./ 충남 부여군 은산면 ) 총 6 종목의 중요무형문화재가 개최된다 .

먼저 , 경남 창녕에서는 축제적 성격의 놀이와 의식인 ‘ 영산쇠머리대기 ’, ‘ 영산줄다리기 ’ 공개행사가 연이어 펼쳐진다 . ‘ 영산쇠머리대기 ’ 는 거주지별로 동서로 나누어 수많은 장정들이 대장의 지휘에 따라 상대방의 쇠머리 ( 나무로 엮은 소머리 모양의 조형물 ) 를 쓰러뜨리거나 쇠머리를 높이 들어 적의 쇠머리 위를 덮쳐 땅에 닿게 하여 승패를 겨루는 놀이로 보는 이의 손에 땀을 쥐게 한다 .

‘ 영산줄다리기 ’ 는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문화의 대표적인 민속놀이이다 . 지름 1m, 길이 40 미터에 이르는 암줄과 수줄을 비녀목으로 연결하여 성안 마을과 성밖 마을 주민들이 동 · 서 양편으로 나뉘어 줄을 잡아당겨 승부를 낸다 . 이기는 편에 풍년이 오고 여자 편이 이겨야 한해 농사가 잘 된다 등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완성된 줄을 여자가 넘으면 아들을 낳고 , 이긴 편의 줄을 지붕에 두면 집안이 번창하고 소 먹이에 매우 좋다는 등의 속신 ( 俗信 ) 이 전해진다 .

제주도의 작은 어촌마을인 건입동 ( 속칭 칠머리 ) 에서는 제주 어민의 염원인 바다의 평온과 풍작 · 풍어를 기원하기 위한 ‘ 제주칠머리당영등굿 ’ 이 열린다 . 굿의 시작인 영등신 ( 영등할망 ) 이 들어오는 9 일 ( 음력 2 월 1 일 ) 에는 영등환영제가 개최되고 , 2 주 뒤인 22 일 ( 음력 2 월 14 일 ) 영등송별제로 굿을 마무리한다 .

영등신 : 영등할망이라고도 하며 , 음력 2 월 초하룻날 찾아와서 2 월 15 일경에 떠난다고 알려진 풍신 ( 風神 , 바람신 ) 이며 풍농신 ( 豐農神 ) 을 지칭

영등신 ( 영등할망 ) 은 음력 2 월 초하루에 신화에 나오는 강남천자국 또는 외눈배기섬으로부터 제주도로 들어오고 , 제주도의 해안을 한바퀴 돌면서 전복 · 소라 · 우뭇가사리 등의 씨를 뿌려 줌으로써 해녀들에게 해산물의 풍요를 선사한 다음 음력 2 월 15 일에는 소섬 ( 우도 ) 을 거치고 돌아간다고 전해진다 . ‘ 제주칠머리당영등굿 ’ 은 제주도 특유의 해녀신앙과 민속신앙이 담겨져 있는 굿으로 , 우리나라 유일의 해녀의 굿이라는 점에서 특이성과 학술적 가치가 있다 .

이외에도 16 일에는 서울 성균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 내 공자를 모시는 사당인 문묘에서 공자를 비롯한 옛 성인들의 학덕을 추모하는 제사인 ‘ 춘기 석전대제 ’ 가 개최되며 , 다음날인 17 일에는 우리 선조들의 기개를 한층 더 느끼게 해주는 고귀한 음악으로 그 가치가 큰 ‘ 피리정악 및 대취타 ’ 공개행사가 국립국악원 예악당 ( 서울특별시 서초구 ) 에서 펼쳐진다 .

마지막으로 충남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서 25 일부터 30 일까지 ‘ 은산별신제 ’ 가 열린다 . 은산별신제는 백제 군사들의 넋을 위로하고 마을의 풍요와 평화를 기원하는 향토축제로 , 소제 ( 小祭 ) 와 대제 ( 大祭 ) 가 격년으로 개최되는데 올해는 대제 행사로 진행되어 지난해보다 볼거리가 더 풍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공개행사는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 보유단체 ) 가 전통문화의 예술성과 뛰어난 기량을 국민에게 선보이는 자리로 , 이를 통해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공동체 문화와 우리 민족의 멋과 흥을 지역별 전승 현장에서 직접 느끼고 경험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

중요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앞으로도 매월 전국 각지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 공개행사에 관한 세부사항은 문화재청 누리집을 방문하거나 , 한국문화재재단으로 문의하면 일정 , 장소 등을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