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보다 더 가까운 중국을 만나다, 인천 차이나타운

619

(미디어원=정인태 기자) 거리를 지나다보면 누구라도 그곳이 중국거리임을 알아차린다. 인천에 위치한 차이나타운은 간판이며 건물이며 거리의 장식이 온통 붉은 물결이다. 저녁이면 빛을 발하는 홍등이 건물마다 줄줄이 내걸려 있고 길거리에는 중국의 먹거리들이 즐비하다.

가까운 중국, 그래도 어디 중국까지 갈 필요 있나? 중국은 바로 가까이에 있다.
중국은 붉은색을 좋아한다?

인천 차이나타운은 지하철 1호선의 종착역인 인천역에서 내려서 역 광장 건너편으로 가면 입구가 바로 나타난다. 익숙한 한국거리들 속에 툭하고 튀는 중국거리가 낯설면서도 새롭다. 차이나타운은 1883년 인천항이 개항되고 이듬해 청나라 조계지가 설치되면서 중국인들이 현 선린동 일대에 이민, 정착하여 그들만의 생활문화를 형성한 곳이다.

화교들은 소매잡화 점포와 주택을 짓고 본격적으로 상권을 넓혀 중국 산둥성 지역에서 소금과 곡물을 수입, 1930년대 초반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요즘에는 역사적 의의가 깊은 관광명소로서 관광쇼핑, 특화점, 예술의 거리 등 권역별로 변화하고 있다.

야외문화공간

역 광장 건너편, 거리 한가운데에 우뚝 솟아 차이나타운임을 알리는 패루에는 한자로 ‘중화가’라고 쓰여 있다. 시야에 완전히 들어오지 않고 패루 사이로 언뜻언뜻 보이는 차이나타운의 거리가 호기심을 자극한다. 패루를 지나 차이나타운 안으로 들어가면 거리는 온통 붉은색 일색이다.

중국인들이 붉은색을 좋아한다고 했던가? 아니, 그들은 붉은색을 사랑한다. 그것도 열렬히. 색에 관한 한 이토록 통일감 있는 민족도 보기 드물 것이다. 조금이라도 덩치가 있는 건물들 앞은 약속이나 한 듯 홍등을 걸어 놓았다. 거리에도 홍등이 줄지어 있다. 밤이 되면 ‘여기가 바로 중국 거리’임을 더욱 확실히 해줄 태세.

거리를 둘러보기 전, 패루를 지나쳐 들어가자마자 오른쪽 편에 마련돼 있는 차이나타운 지도를 살펴보면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차이나타운 안에는 곳곳에 숨어있는 볼거리들이 많기 때문에 계획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발품만 팔다 놓치게 되는 볼거리가 생길 수 있다.

대형 중국집과 아기자기한 옷이나 먹거리를 파는 T자형 골목이 나오기까지 3백미터 정도를 걸어가야 되지만, 이 길은 결코 길지 않다. 길을 걸으면서 중국풍의 소품들을 구경하기에 정신이 없기 때문이다. 관광 특화된 곳이다 보니 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소품이나 기념품들을 파는 가게가 많다. 특히 상점 앞 곳곳에 중국술을 줄지어 판매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아마도 중국술의 그 맛이 독하면서도 깔끔한 것으로 유명해 유독 많이 판매하는 듯하다. 중국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술도 있고, 아기자기한 병에 담겨 있는 술, 애주가라면 분명 눈이 휘둥그레 해 질만한 대형 페트병에 담겨있는 중국술도 있다.

이곳에서는 상점들이 온통 붉은 옷을 입고 있어서, 한자로 써놓은 중국어를 지나쳐 작은 글씨의 ‘편의방’과 같은 한글을 봐야지만 이곳이 무엇을 파는 가게인지 대략이라도 짐작할 수 있다. 편의방이 무엇을 파는 곳인가 하니, 옷을 파는 가게다. 옷을 팔면서 중국풍의 소품, 장식품을 함께 팔고 있다.

차이나타운에 있는 음식점 대다수가 중국음식을 파는 집이나 보니, 한눈에 봐도 경쟁이 치열한 것을 느낄 수 있다. 방송을 탄 중국집들이 저마다 대문 앞에 큼지막한 플랜카드를 내걸어 놓았다. 차이나타운의 특수성에 여러 미디어 업체에서 타운 내에 있는 중국집을 소개하는 방송을 많이 했기 때문이다. 유명한 곳들 중에서도 특히 풍미, 자금성, 태화원, 태창반점, 신승반점 등이 중국의 맛을 이어가고 있다.

무엇보다 이곳에는 화교 2,3세들로 구성된 170가구, 약 500명이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거리를 지나다니다 보면 어디선가 들려오는 중국어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더위를 피해 그늘진 곳에 않아 중국어로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나이 지긋한 화교를 보면, 그 옆에 앉아 이곳에 사는 그들의 사연이 듣고 싶어진다.

거리마다 넘치는 중국의 물결

T자형 거리가 나오고 바로 왼쪽으로 꺾어 조금 걸어가면 제3패루 ‘선린문’이 나오는데 선린문 바로 밑에는 계단이 있다. 계단을 오르면서 양쪽 면에 그려진 자금성내의 태화전과 만리장성은 모두 중국을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계단 양쪽 면뿐만 아니라 계단에도 그림이 그려져 있다. 판다, 갑골문자, 경극 등이다.

선린문 바로 밑의 계단 앞에 판다그림은 포토존으로 선린문 앞에서 사진을 찍으면 마치 사람이 판다를 쓰다듬고 있는 것처럼 착시 효과를 줘 웃음을 자아낸다. 선린문을 지나면 자유공원으로 올라가는 계단 ‘스카이힐’이 조성돼 있다.

스카이힐을 지나 자유공원으로 갈 수도 있지만 더운 날씨에 올라가는 길이 부담스럽다면 다시 내려와 T자형 거리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가면 풍성한 먹거리의 대향연이 펼쳐진다. 어디선가 불어오는 입맛 돋우는 고기 굽는 냄새를 따라가 보니 양꼬치를 숯불에 구어 팔고 있다. 양꼬치는 닭고기와 맛이 비슷한데 이리저리 구경하느라 출출하게 곯은 배를 채워주고 남을 맛이다.

또 십리향에서 파는 ‘옹기병’도 빼놓을 수 없다. 옹기병은 항아리 만두로 옹기 안에다 숯불을 직접 넣고 옹기벽에 만두를 붙여 구어 내는 과자식 만두다. 인도의 ‘난’과 비슷한 옹기병은 각종 미디어에서 많이 소개해 이제 알 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차이나타운의 명물이다.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시간대에는 직접 이 옹기병을 굽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 인기가 엄청나다보니 한 사람당 옹기병을 살 수 있는 개수가 정해져 있다. 고기맛, 단호박맛, 검정깨맛, 고구맛 이렇게 네 가지 맛의 옹기병을 같은 맛은 4개, 한사람 당 최대 16개만 구매가 가능하다. 이것이야 말로 ‘없어서 못 파는 지경’ 인 것. 하나당 1500원이다. 이외에도 거리에는 꽃방, 공갈빵 등 중국 먹거리가 넘친다.

사방팔방 걷다보면 이제 쉴 때가 됐다고 몸이 신호를 준다. 자,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냐. 어디 걸터앉을 곳을 찾아 앉는다? 틀렸다. ‘차이나타운 야회문화공간’을 찾아가면 된다. 관광객을 위한 일종의 쉼터인 이곳은 중국 드라마에서 보던 자그마한 정자하나를 옮겨온 듯한 느낌의 공간이다. 중국풍의 정자가 보이고 조약돌이 깔린 바닥에 물이 흐른다. 흐르는 물을 건너는 자그마한 다리도 있다. 그리 크진 않지만 있을 건 다 있는 공간이다.

차이나타운에 왔는데 이곳을 못 보면 또 섭섭하다. 가는 길이 경사진 ‘청일 조계지 계단’이지만 이런 고난을 넘고 나야 달달한 열매가 보이는 법이다. 계단의 끝에는 공자상이 있고, 공자상 마저 넘어가면 삼국벽화거리가 나타난다.

벽화는 구 청국영사관 회의청에서 화교중산학교까지 약 150미터정도 이어져 소설 삼국지 내용의 주요장면을 그려놓았다. 이야기의 시작인 도원결의가 계단을 다 올라온 지점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청일 조계지 계단은 삼국지 벽화거리를 보기위한 필수 코스다.

또 이곳에는 산동지방의 도교식으로 1893년경에 세워졌다고 추정되는 의성당도 있다. 의성당은 인천 개항 후 인천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이 불어남에 따라 교화를 위해 지어졌다. 중국식 사당인 이곳에서는 관음보살, 관우상, 삼신 할미상, 용왕상 등으로 중국 특유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 주말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차이나타운 일부 거리에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해 주말에 타운을 찾는 사람들을 배려한다.

중국의 색채와 중국의 문화, 중국의 먹거리가 넘쳐나는 차이나타운. 그러나 겉으로 보이는 휘황찬란한 볼거리가 다가 아니다. 이면에는 한국이라는 타지에서 그들만의 공간을 만들게 된 화교들의 오래된 역사가 있다. 역사적 의미를 갖고서 찬란한 문화를 대변하는 가까운 중국이 더 가까운 한국, 그 안에 있다.

사진: 정인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