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끝, 오지 히말라야의 그늘 아래 신을 숭배하고, 종교적 믿음으로 환생을 기원하는 이들이 살아가는 곳이 있다. 티베트인들은 인간이 살아가는 가장 높은 곳, 신들의 언덕에서 가장 낮은 자세로 코나(순례)를 한다. 신을 향한 기도와 고행은 숨이 멎을 것만 같은 고지대에서도 하염없이 오체투지(삼보일배)를 행하며 이어진다.
티베트에서의 종교는 사원이나 사당에만 있지 않고, 먹고 말하고 숨 쉬는 그 자체이며 내세를 위한 고행의 연속이다. 티베트에서 불교는 종교가 아닌 삶이요 전생의 악업을 끊기 위한 속죄의 고행이며, 내세의 유복한 환생을 위한 현세의 기도이고 신과 소통하는 유일한 길이다.
티베트의 자연과 사람들
티베트의 대평원 라싸 초원을 가로지르며 만나는 티베트 유목민의 미소 속에서 보살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순수하고 때 묻지 않은 평온의 미소는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경계와 호기심의 눈빛으로 다가선 우리를 부끄럽게 한다.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 조차 쉽사리 허락지 않은 이 메마른 대지에 어떻게 저런 아름다운 미소가 생겼을까, 이게 티베트 불교의 의미일지도 모른다.
저 멀리 관광객들을 실은 열차가 내달리고, 수천 년 전 모습 그대로의 삶을 지켜가며 살아가는 유목민들이 눈앞 전경으로 펼쳐진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순간이다. 함박웃음으로 가득한 아이들의 볼은 야크떼를 모느라 태양 빛 아래 그을려 붉게 상기되어 있고, 수줍은 미소로 길 떠난 나그네를 향해 수유차 한잔을 내미는 유목민 여인의 갈라진 손등은 보는 이로 하여금 애잔함을 느끼게 한다. 그 옆에선 그들의 가장이 하루 일과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음에 감사하고 내일의 안녕을 기원하며 조심스레 돌 한덩이를 쌓아 올린다.
오염되지 않은 하늘과 공기, 그 가운데 내려앉은 석양은 기암괴석의 절경을 이룬 대자연의 장대함과는 사뭇 다르다. 끝없이 펼쳐진 지평선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저 대지의 여신 앞에 경외하듯 조아리게 된다.
티베트의 광활한 초원은 흙탕물 웅덩이와 암석 골짜기, 흙빛의 삭막한 대지가 이어지며 티베트인들의 삶만큼이나 고행의 땅으로 세워져 있다. 이 초원에서도 오체투지를 하며 진흙탕 속에 몸을 던지고 돌부리에 몸이 상해도 아랑곳하지 않는, 오직 그들의 신만을 위한 코나를 행하는 순례자들을 심심찮게 만날 수 있다.
신께서 주신 오늘의 하루를 선물이라 여기고 주어진 것에 만족하며, 가진 것 없는 가난한 삶일지라도 행복하다 말하는 사람들, 매일 매일이 행복으로 충만하다 여기며 살아가는 이들이 바로 티베트인들이다.
달라이 라마에게로 향하는 순례자들
티베트인들이 가장 신성시하는 곳, 라싸의 상징물인 포탈라궁과 다자오사는 티베트 불교의 대표적 상징물이다. 나지막한 건물들로 이루어진 라싸 시가지 중심에 우뚝 솟아있는 포탈라궁은 하늘 아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며 신을 향해 끝없이 기원하는 중생들을 굽어보고 있다.(1994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포탈라’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의 포탈라카(보타락가, 관음보살이 사는 산)에서 유래되었다. 7세기 라싸 지방의 관음보살을 모신 ‘파쿠파 라칸’이 처음 건립되고, 수십 수백 년의 기간 동안 계속 건축되면서 지금의 포탈라궁이 완성되었다고 한다. 정면에서 바라본 포탈라궁의 위용과 아름다움은 고산지대 에메랄드빛 하늘과 함께 천상의 조화를 이루어 여행객들에게 벅찬 감동으로 다가선다.
그러나 포탈라궁으로 향하는 높은 계단은 또 다른 고행의 시작이다. 저지대에 비해 63%밖에 되지 않는 라싸의 산소량은 가만히 서 있는 것만으로도 숨통이 조여오고, 어지러운 고산증을 앓게 한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티베트인들의 내세를 향한 소원함과 염원은 멈출 줄을 모르고 신 앞에 몸을 던지듯 오체투지를 행한다.
지금은 인도의 다람살라에 망명 중인 달라이 라마 14세가 떠나면서 객들만이 드나드는 비운의 궁전이 되어버린 포탈라궁은 1,000여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여행객들에게 공개된 곳은 종교적 업무를 관장하던 훙궁(붉은색)과 달라이 라마의 생활공간과 행정 업무를 집행하던 바이궁(백색)으로 약 300년간 티베트의 정치, 종교의 중심지였다.
또 하나의 상징인 다자오사(죠캉사원)는 7세기 중반 토번의 왕 손첸 간포의 왕비에 의해 창건된 사원으로 티베트인들에게 가장 신성한 성지다. ‘죠캉’은 ‘부처의 집’을 의미한다. 특이하게 이 사원은 네팔과 인도의 건축양식을 따랐으며, 일반적 사원의 방향인 남향이 아닌 서향으로 지어져 있다. 이는 왕비의 고향인 네팔을 향하기 때문이라니, 고향을 그리는 애절한 마음은 신을 섬기는 절대적 삶으로도 어찌할 수 없었나 보다.
성소(聖所), 카일라스산
순수함과 초자연의 신비가 살아 숨 쉬는 땅에 신이 살고 있는 성스러운 산이 있다. 해발 6,714m 만년설의 신비로움을 안고 있는 카일라스는 ‘눈의 보석’, 산스크리트어로는 ‘신의 천당’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불경에서는 우주의 중심으로 지칭된다.
티베트에서 카일라스산은 수미산이라 불리며 티베트 불교 수행자들이 일생에 꼭 한번은 다녀와야 하는 곳이라 생각한다. 만년설로 뒤덮인 카일라스산에 휘몰아치는 칼바람은 신의 존재를 증명이라도 하듯 경외롭다. 대자연의 웅장함과 인간의 순수한 열정이 이 먼 곳 오지에 신이 살아 있는 산, 카일라스산을 만든 것이다.
카일라스산으로 향하는 길은 암석 골짜기가 수천 년 세월의 비바람에 깎이고 쪼개어져 언저리마다 수많은 작은 돌들과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입산이 허락된 카일라스산 주변의 52㎞로 오체투지를 하며 순례하는 이들은 자신을 그 모래의 한 알갱이에 비유하며 한 걸음 한 걸음 신에게 다가간다. 그리고 오방색(타루쵸)기를 달며 바람의 말(룽따)이 자신들의 바람을 신께 전해 주길 기도한다.
흔히 소남(영적 경지)에 이르기 위해 무소유의 삶을 이야기한다. 물질적 삶에 집착하지 않고, 삶의 조건이나 불편함을 장애로 생각하지 않는 티베트인들의 삶이야말로 무소유에 대한 답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가는 길
티베트로 가는 항공편은 인천공항에서 베이징, 서안, 청두(쓰촨성 성도) 등으로 이동하여 라싸로 가는 항공편으로 환승하면 된다. 베이징에서 라싸까지 3시간 15분이 소요되며, 청두(성도)에서 라싸(궁가)까지는 1시간 40분이 걸린다. 또한, 티베트를 여행 시 환승지에 있는 티베트여유국 지사에서 티베트 입국 허가증을 받아야 한다.
육로편으로는 베이징, 상하이, 청두(성도) 등에서 칭짱열차를 이용하면 되지만, 베이징에서 46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탓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어느 정도 중국어가 구사되어야 가능하다. 주의해야 할 사항은 라싸에서 달라이라마에 대해 이야기하지 말아야 하고 사진을 소지해서도 안 된다. 절과 기도소, 탑을 돌 때는 반듯이 시계방향으로 돌아야 한다.
라싸 시내 교통편도 있으나 구시가지를 둘러볼 때는 걸어다녀도 충분하고, 근처 세라사원(세라 곰파, 色拉寺)나 드레풍사원으로 이동시에는 미니버스를 타면 된다. 고산증세 완화를 위해 아스피린이나 타이레놀 같은 상비약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분주한 라싸시가지
광활하게 펼쳐진 라싸 초원
글 사진: 강정호 기자/ 라싸 티벳 미디어원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