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강정호 기자) 해외여행 인구가 2018년 말까지 30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전체 인구의 60퍼센트에 육박하는 숫자, 그러나 충분한 사전 여행지식이나 에티켓에 대해서 들은 바 없으니 이들 여행객들 중의 상당수가 여행 중 상식에 어긋나는 일을 하는 경우가 생기고 결과적으로 전체 여행객들의 여행의 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해외여행 중 다른 여행객들로부터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는 언제일까? 인터넷 여행사 익스피디어가 전 세계 23개국 18229명을 대상으로 여행 에티켓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들 중 한국인 참여자는 607명이다.
조사 결과가 상식을 넘어서지는 않는다. 해외여행을 자주 하는 경우라면 누구나 공감하는 내용이지만 항공 여행 중 혹은 호텔 이용시 아이를 방치하는 부모들이 가장 꼴불견으로 꼽힌 것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한국인이 비행 중 세계여행객 평균의 4배에 가까운 음주를 한다는 조사 결과 역시 놀랍다. 비행 중 음주는 탈수현상을 일으켜 고혈압이나 심혈관질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행에서 불편을 느끼는 사례를 장소 및 상황별로 살펴 보면
항공 여행 중 가장 불편을 느끼는 경우는 앞좌석을 차는 승객(51% 복수응답허용)으로 나타났다. 냄새가 심한 승객(43%)이 2위, 아이를 제멋대로 방치하는 부모(39%)가 3위를 차지했다. 유럽과 미주 여행객들이 냄새에 더욱 민감한 반면, 아시아여행객은 아이들에 무관심한 부모들에 더 불편함을 보였다. 너무 가까이 붙어 앉는 사람, 앞 사람들보다 먼저 내리려 밀치고 나서는 승객도 꼴불견으로 꼽혔다.
호텔에서 불편을 느끼는 대표적인 사례 역시 아이를 통제하지 않는 무신경한 부모들(45%)였다. 2위는 복도에서 큰 소리를 내는 사람(41%), 3위는 객실에서 소란 피우는 사람(41%) 순이었다. 너무 잦은 컴플레인으로 호텔 직원을 괴롭히는 사람도 꼴불견으로 꼽혔다.
■ 한국여행객은 소음에 민감하다. “쉿, 조용히 해주세요’
한국인 여행객은 소음에 특히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비행기 옆 좌석에 수다스러운 승객이 앉는 것(88%)과 울거나 시끄러운 아이에 대한 거부감(72%)이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높았다. 함께 여행하게된 낯선 승객과 대화할 확률(25%)은 세계 최저수준으로 나타났다.
호텔에서의 불편함을 느끼는 사례 역시 세계 평균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은 객실에서 소란 피우는 사람(50%), 복도에서 큰 소리를 내는 사람(46%)을 가장 싫어했다.
■ 같은 듯 다른, 세계인의 비행 매너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6%)은 앞 승객이 의자 눕히는 것을 싫어했다. 의자는 잘 때(42%, 중복응답 허용)나 장시간 비행(38%)에만 눕힌다고 답했으며, 20%는 절대 눕히지 않는다고 답했다. 많은 유럽인들은 이를 무례한 행동으로 여기기도 했다.
화장실에 가려는데 통로 측 사람이 자고 있다면? 깨워서 비켜달라고 말하는 사람(42%)이 가장 많았다. 한국인이 주로 선택한 방법이다. 자는 승객을 넘어 가는 사람(35%)도 많았고, 깰 때까지 기다리는 사람(23%)도 있었다.
■ 비행 중에는 신발을 신고 있는 것이 매너, 최소한 양말은 신고 있어야
같은 듯 다른, 세계인의 비행 매너신발을 벗고 있어도 될까? 대부분은 꼭 신고 있어야 한다(63%)고 답했다. 멕시코인(85%)이 가장 엄격했다. 양말까지는 괜찮다(30%)는 의견도 많았다. 일부는 맨발(7%)도 가능했는데, 일본인(16%)이 가장 많았다.
난동을 부리는 승객이 나타날 경우에는 바로 승무원에게 알리겠다는 이들이 62%로 가장 많았다. 가만히 있거나 무시하겠다는 사람이 25%, 직접 맞서서 제지하겠다는 사람은 9%였다. 승무원 의존도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한국(72%), 가만히 있거나 무시하는 나라는 일본(39%), 직접 맞서겠다고 답한 국가는 독일(22%)이 각각 1위였다.
■ 한국여행객 기내 음주 세계 여행객의 4배 수준, 기내에서 취하는 경우 많아.
같은 듯 다른, 세계인의 비행 매너이 외 과반수의 미국인(47%, 세계 평균 27%)은 위탁 수하물에 대한 추가요금을 피하기 위해 되도록 많은 짐을 기에 싣고, 인도인(41%, 세계 평균 22%)은 가족, 친구 등 일행과 나란히 앉기 위해 다른 승객에게 자리를 바꿔달라는 요청을 가장 많이 했다. 공항, 게이트, 기내에서의 항공 여행 경험을 SNS에 가장 많이 업로드 하는 것도 인도인(34%, 세계 평균 12%)이었다. 한편, 한국인(24%, 세계 평균 6%)은 기내에서 취한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눈길을 끌었다.
■ 한국인 여행객, 규정 잘 지키고 팁에 관대해
한국인은 규정을 비교적 잘 지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에서 일행과 나란히 앉기 위해 타인에게 좌석을 옮겨달라 부탁하거나(18%, 세계 평균 22%), 반입 수하물의 무게나 사이즈 규정을 어긴 경험(4%, 세계 평균 8%)이 모두 평균보다 낮았다. 호텔에서 객실 물품을 가져가거나(14%, 세계 평균 20%), 투숙인원을 마음대로 늘리는 일(4%, 세계 평균 8%)도 적었다.
팁을 주는 데에도 관대했다. 한국(72%)은 미국(81%)과 캐나다(72%)에 이어 팁에 관대한 여행객 3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평균은 55%였다. 미국과 캐나다는 룸 서비스를 받을 때, 한국인은 룸 메이드에 팁을 가장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호텔 스태프에게 적정한 팁은 약 2~3달러(약 2,100~3,200원)이라고 답했다.
사진 및 자료 제공:익스피디어, 미디어원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