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해외관광의 일번지 한국

해외여행중인 중국관광단체,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없음
(티엔엘뉴스-김원중기자)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이 찾은 외국관광지는 한국이라고 주중 한국대사관 측이 최근 발표했다.
대사관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으로 한국은 홍콩과 마카오를 제외하면 중국인의 발길이 가장 빈번했던 최대 관광지로 확인 되었다.
대사관 측이 인용한 법무부 자료에 의하면 올 1∼9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은 154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말까지 2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인의 한국방문은 2007년 92만 명, 2008년 101만 명, 2009년 121만 명, 2010년에 172만 명으로 급증 추세다.이에 따라 중국인의 한국방문을 위해 베이징(北京) 주재 대사관 영사부를 비롯해 선양(瀋陽), 상하이(上海), 시안(西安) 영사관 등에서 비자(사증) 발급도 급증하고 있다.
대사관 측은 1∼9월 4곳에서 발급한 비자는 81만 194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2% 늘었다고 확인했다.대사관 측은 이 기간 비자발급과 관련해 두드러진 점은 관광 목적의 단기종합비자(C3)이 84.8%로 가장 많았다는 점이고, 그 이외에 사업목적의 방문취업비자(H2), 재외동포비자(F4) 발급은 예년과 비교할 때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대사관 측은 과거에는 조선족 동포 중심의 취업목적 방한이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관광과 비즈니스 목적의 중국인 방문이 대세라고 전했다.중국 내 한국 공관에서 발급된 비자의 불법체류율은 지난해 0.31%였으며, 올 들어서는 이보다 낮은 0.25%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사관 측은 특히 2008년 이후 세계금융위기와 지난해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도 불구하고 중국인의 대(對) 한국 관광이 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을 연계해 찾는 점도 눈여겨볼 만한 경향이라고 덧붙였다.
대사관 측은 최근 중국인의 한국방문 급증은 세계 경제의 어려운 여건에도 중국 경제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소득수준이 향상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관광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에서 도시 중산층을 중심으로 외국여행 수요가 매우 증가해 지난해에는 그 수가 5739만 명에 달했으며, 올해에는 6천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여행경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특히 자연경관이 뛰어난 제주도가 무비자 방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국인에게 한국 관광은 인기가 높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중국인의 관광 및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한 한국 관광이 늘면서 우리 정부는 중국인에 대한 비자발급절차 간소화, 양국 간 사증 면제 협정 검토 등의 대책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 9월 1만 명이 넘는 중국 바오젠그룹 관광단의 방한에 이어 중국 국경절(10월 1~7일) 기간에 중국 관광객이 한국에 대거 모여들면서 백화점 등에서 외국명품과 옷, 화장품 등을 ‘싹쓸이’ 쇼핑하면서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