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햇빛 방치땐 노화 빨리 온다

폭염이 끝나고 가을을 재촉하는 태풍도 지났다. 이제 추석을 앞두고 계절은 완연한 가을이 되었다. 활동하기 좋은 가을은 특히 여행하기에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여성들은 여행을 나설 때 가장 신경 쓰이는 부분 중 하나가 피부관리다. 봄이나 가을 햇볕의 자외선, 유해환경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깨끗한 클렌징이 중요하다.

피부에는 ‘티로신’이라는 아미노산이 있는데, 자외선을 받으면 ‘멜라닌’으로 변하게 된다. 멜라닌은 피부를 검게 만드는 주범이다. 보통 건강한 사람은 피부의 각질 탈락 주기에 따라 멜라닌도 함께 떨어져 나가지만 그렇지 못하면 피부가 탄 채로 흉하게 남게 된다.

가을철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색소세포(멜라노 사이트)에서 멜라닌 색소를 빠르게 만들어 낸다.

그 원인은 바로 자외선. 자외선은 기미, 주근깨뿐 아니라 피부에 여러 가지 피해를 준다. 우선 자외선은 피부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하게 만들고 잔주름도 생기게 한다. 피부탄력을 떨어뜨리고 두꺼운 각질층을 만들어 피부의 노화 현상을 촉발시킨다고 한다.

이뿐이 아니다. 피부 속 혈관이 늘어나는 혈관확장증, 일광화상, 햇빛 알레르기 등 악영향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오존층 파괴가 심한 요즘엔 피부암도 큰 걱정거리다.
학술적으로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UVA,UVB, UVC 등 3영역으로 구분된다. 피부에 피해를 입히는 자외선은 파장이 길어 진피까지 화학반응을 촉발시키는 UVA와 UVB를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자외선도 차단제로 깔끔히 해결할 수 있다. 자외선 피해를 줄이려면 외출 전 반드시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면 된다. 만약 차단제를 바르지 않으면 기미나 주근깨도 한층 진해지며, 잔주름이 생기고 피부의 이완으로 탄력성도 줄어든다.
자외선 차단제를 어떻게 바르느냐에 따라서 피부노화 줄일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 사용방법은 얼굴전체에 고루 펴바르고, 콧방울, 이마 가장자리, 얼굴과 목의 경계선까지 골고루 발라줘야 한다. 자외선이 얼굴뿐 아니라 목, 귀, 다리, 손목, 팔 등에도 내리쬐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는 기초 화장의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단제는 또 바른 뒤 일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 땀이나 물에 씻겨지게 마련이다.
이땐 자외선을 차단하는 보호막이 사라진 상태이므로 오랜 시간 햇빛에 노출될 때를 대비해 차단제를 3~4시간마다 덧바르는 게 좋다. 자외선 차단제는 실내에선 SPF(자외선 차단지수) 10~15 제품을, 야외에선 SPF 25~30제품이 적당하다. 바닷가에선 SPF 30~40 이상의 제품을 선택한다.

더미소 피부과 김경진원장은 “멜라닌은 자외선의 차단 등을 위해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과다하게 생성되거나 침착되면 미용상에 문제를 일으킨다”면서 “무엇보다 자주 씻어 모공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수분의 평형 유지를 위해 물을 많이 마시고, 전용 팩이나 피부과전문치료로 피부 영양을 공급해주면 꾸준하게 미백관리를 해줘야 봄철에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치선 기자 [email protected] ]
*도움말 : 김경진 원장(더미소 피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