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인프라와 특성은 무시한 채 ‘ 사업 타당성 ’ 만 내세워
– 자치단체 의도에 부합하는 맞춤식 수치 부풀리기로 ‘ 질르기 일색 ’
– 정부 , 지자체의 무리한 유치지원금 경쟁에 제재 필요
(미디어원=이정찬 기자) ‘ 굴뚝 없는 황금산업 ‘ ‘ 서비스산업의 꽃 ‘ 으로 불릴 만큼 컨벤션산업의 고부가가치와 경제파급효과는 크다 . 그러나 현재 자치단체들이 앞 다투어 추진하고 있는 컨벤션센터 건립 사업은 ‘ 운영적자 ’ 와 ‘ 과잉공급 ’ ‘ 출혈경쟁 ’ 등으로 국가재정에 ‘ 암 ’ 적 존재로 전락하고 있다 .
각 지역 컨벤션센터 자체의 경제적 타당성은 뒤로한 채 ‘ 너도나도 따라하기식 ’ 의 컨벤션센터 신 ㆍ 증설은 지역 경제 활성화 대신 과잉공급에 따른 폐해로 얼룩지고 있다 .
전남의 F1 사업의 경우 연간 1 조 2 천억의 경제유발 효과를 주장했으나 2016 년까지 5 천억원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 또 용인 경전철 사업의 경우 하루 14 만명의 이용을 예상 하였으나 실제는 3 만명이 이용하고 있는 등 사업 타당성을 제시한 허술한 용역보고서와 지자체의 경제파급 효과 수치 부풀리기는 국고지원 지자체 사업의 고질적 문제인 것이다 .
▲ 낮은 가동률과 운영적자는 지자체에도 부담 … “ 그런데도 ?”
지방자치단체치고 컨벤션센터 하나 쯤 가지고 있지 않은 곳은 없다시피하다.
현재 전국에 1 만 ㎡ 가 넘는 대형 전시컨벤션센터는 11 곳에 이른다 . 서울에 코엑스 (COEX) 를 비롯한 부산 , 광주 , 경기 , 대전 , 대구 , 인천 등 대부분 광역자치단체가 1 개 이상의 전시컨벤션센터를 갖추고 있다 . 신규 센터 건립뿐만 아니라 기존 센터 시설 확장도 이어져 몸집 불리기에 여념이 없다 .
그러나 문제는 우후죽순격으로 난립하고 있는 각 지역의 전시컨벤션센터들과 기존 대형 국제전시컨벤션센터들이 한정된 컨벤션 ㆍ 전시 시장을 놓고 출혈경쟁을 치르며 ‘ 제 살 깎기 ’ 의 운명에 놓이게 된 것이다 .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 침체에 따른 컨벤션 산업의 둔화는 국제행사 유치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
우리나라 제일의 국제전시 컨벤션센터인 킨텍스의 가동률은 2008 년 51%, 2009 년 54.1%, 2010 년 58.7% 를 정점으로 2011 년 50.8% 로 감소한데 이어 2012 년에는 44.2% 까지 추락했다 . 세계경기 침체가 심화된 지난해는 이보다도 낮은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부산 벡스코 또한 2011 년 55% 였던 가동률이 2012 년에는 47% 로 내려앉으며 가동률 추락에 따른 운영적자가 심화되고 있다 .
실제 킨텍스의 몸집불리기 시설확장 전인 2010 년에는 가동률 58.7%, 매출 21,353( 백만원 ) 을 기록한 반면 확장이 완료된 2011 년에는 가동률 50.8%, 매출 24,945( 백만원 ) 을 기록하며 운영적자 47 억원을 양산했다 . 지자체의 전시컨벤션센터의 가동률은 더욱 심각한 상태로 광주 등 일부는 40% 대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
이러한 전시컨벤션센터 가동률 하락과 운영적자는 센터는 물론 지자체 재정에도 부담이 되고 있다 . 이에 지자체들이 무리한 지원금을 감내하면서도 행사 유치경쟁에 뛰어들어 가동률 높이기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
지자체는 각 지역의 인프라 즉 핵심 인프라인 컨벤션센터를 제외한 지역내 전문 PCO 와 PEO 의 부재 , 소비촉진이나 유인을 위한 시설물 부족 , 특급호텔과 같은 고급숙박업체의 부재 등은 뒤로 한 채 , 무리한 유치지원금만을 쏟아 붓고 있다 . 이에 전문가들은 지자체들의 이러한 파행이 컨벤션산업 전체의 공멸을 자초하고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 제재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
▲ 정부 지자체의 무분별한 유치경쟁에 제동 … “ 공급 자체를 제한해야 ”
정부가 지자체의 무분별한 국제행사 유치를 막기 위해 ‘ 국제행사 개최 승인 심사제도 ‘ 의 카드를 들었다 . 지난 2012 년에 이어 지난해 12 월 10 일 ‘ 국제행사의 유치 · 개최 등에 관한 규정 ‘ 과 ‘ 국제행사관리지침 ‘ 을 개정했다 .
우선 ‘ 국제행사 주관 기관 ’ 을 축소하고 , 자체수입보다 국고지원에 의존해 국제행사를 열려는 일부 지자체의 얌체 행정을 막기 위한 ‘ 국제행사 졸업제도 ‘ 도 도입됐다 . 또 국제행사 정의규정에 ‘ 외국인 참여비율 5% 이상 ( 총참여자 200 만명 이상은 3% 이상 )’ 조건을 추가하고 , 유치승인 후에도 재정관리를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MICE 관계자는 “ 이번 정부의 국제행사 개최 조치로 일부 지자체들의 무리한 유치지원금 지급관행이나 ‘ 하고보자 ’ 식의 무분별한 행사유치는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 고 밝혔다 .
그러나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정부 조치에 더해 좀 더 적극적인 MICE 산업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 지자체의 무분별한 국제행사 유치경쟁을 초래한 ‘ 공급과잉 ’ 을 지적하며 산발적 센터 건립을 허용할 것이 아니라 경제적 타당성을 고려한 ‘ 선택과 집중 전략 ’ 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또 전략적으로 특화되지 못한 기존 센터는 지역의 특색에 맞게 맞춤식 육성전략이 필요함과 동시에 신규 센터는 기존 센터의 기능과 중복되지 않도록 정부가 엄격한 규정으로 허가하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
얼마 전 인천 송도컨벤시아 어린이 놀이기구 사고가 보여주듯 현재 대형 국제전시컨벤시아에서도 국제행사 유치 부진으로 인한 운영적자를 컨벤션산업과 연관도 없는 어린이 놀이공간이나 돌잔치 행사로 보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국제전시컨벤시아는 시설확장 등의 시설투자에만 집중할 뿐 자생적 생존 전략조차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흑자전환은 사실상 희박하다 . 신규 센터 건립에 앞서 기존 센터의 전략적 육성정책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