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지나고 봄 나들이 여행객이 증가하는 봄을 맞으며 ‘ 타이어 안전관리 ’ 요령을 알아본다.
봄비가 자주 내리게 되는 상황에서 운전자는 안전에 더욱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다 . 그 만큼 비 오는 날 더욱 안전 운전에 유의해야 하며 , 봄 나들이 계획에 마음이 들떠 있겠지만 안전운전도 꼭 챙겨야 할 시기다 .
[ 내 안전의 마지노선 1.6mm? 2.8mm!]
이제 많은 운전자들이 타이어 마모가 심하면 안전에 위협이 있다는 정도는 상식으로 알고 있다 . 그럼 어느 정도의 마모 수준이 위험한 상태일까 ?
동일한 타이어 상황일지라도 비에 젖은 도로에서는 자동차의 제동력이 낮아져 미끄러지는 거리가 1.5 배 이상 되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새 타이어와 마모 타이어의 제동거리 차이는 쉽게 지나칠 수 없다 .
왜 마모가 심하면 잘 미끄러질까 ? 타이어는 트레드 (Tread) 라는 고무층 사이 홈을 통해 배수를 하도록 되어 있는데 고무층의 지나친 마모는 타이어 사이로 물이 빠져 나갈 수 없도록 만들어 타이어와 도로 표면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 수막현상은 고속에서 더욱 심화되는데 타이어가 심하게 마모된 차량이 봄철에 고속으로 달리는 것은 물 위를 떠오른 채 주행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정도로 그 위험성은 매우 커진다 .
한국타이어에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 실제로 젖은 노면에서 시속 100km 이상 달리다가 급제동하게 될 시 홈의 깊이가 7mm 인 새 타이어를 장착했을 때와 홈의 깊이가 1.6mm 로 심하게 마모된 타이어를 장착했을 때와의 약 2 배 가까이 제동력에 차이가 났다 . 더욱이 시속 80km 로 코너를 도는 실험에서는 신규 타이어는 2~3m 미끄러지는 데 그쳤지만 낡은 타이어는 아예 도로 밖으로 이탈해 버리는 결과가 나타나 낡은 타이어의 위험성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
그럼 타이어 홈 깊이가 마모 한계선인 1.8mm 에 닿으면 그 때 타이어를 교체하면 되는 것일까 ? 한국타이어는 봄철 안전운전을 위해서는 마모한계까지 기다리기 보다는 홈 깊이가 2.8mm 정도인 상태에서 여유를 두고 타이어 교체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
또한 , 단순히 가격 때문에 중고 타이어를 고려하게 되는데 싼 값에 끌려 제조한지 오래된 중고 타이어를 구입할 시 사고의 위험은 더욱 커진다 . 타이어는 오래될수록 고무층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고속주행 시 파손위험이 커진다 . 여름 봄철의 젖은 도로에서는 마모도의 차이가 제동거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끄럼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
[ 공기압 체크로 빗길 안전 운전 , 타이어 수명 연장 , 연비 절감 등 1 석 3 조 효과 !]
타이어 홈이 넉넉히 남았다면 봄철 안전 운전 준비는 끝난 것일까 ? 타이어 마모 상태 못지 않게 타이어 관리를 위해 중요한 요소가 바로 적정 공기압 유지이다 . 평상 시 타이어 공기압은 부족해도 또 과해서도 안 된다 . 부족하면 타이어 각 부분의 움직임이 커져 열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고무가 약화될 수 있고 반대로 과할 경우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타이어 손상이 쉽게 발생되고 특히 중앙 부분에서 조기 마모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
타이어의 적정한 공기압 유지는 타이어가 도로와 완전한 접촉을 하여 최대의 견인력과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 특히 봄철 타이어의 견인력과 제동력은 안전운행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 실제 젖은 노면에서 시속 100km 이상으로 달리던 자동차를 급제동 할 경우 타이어의 공기압 수준에 따라 제동력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
이와 함께 적정 공기압 유지는 타이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마모되도록 함으로써 수명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연비도 절감할 수 있으니 타이어의 공기업을 적정하게 맞춰야 1 석 3 조의 효과를 걷을 수 있다
타이어는 지면과 자동차를 이어주는 매개체로 안전운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봄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지속적인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 .
[ 겨울용타이어는 사계절용 또는 여름용타이어로 교환하자 !]
봄철을 맞아 아직 겨울용타이어를 장착하고 있다면 당장 사계절용타이어나 여름용 타이어로 바꾸자 . 겨울용타이어는 눈 또는 빙판길 주행에 최적화하기 위해 부드러운 고무를 사용하고 또한 트레드 상에 홈도 많다 . 따라서 눈 또는 빙판길 주행 시 노면을 움켜쥐어 마찰력을 증가시키지만 , 일반노면 주행 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타이어마모가 빨라진다 .
따라서 , 눈이 오지 않는 봄철에는 사계절용타이어 또는 여름용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타이어 안전 관리 7 계명 ]
1. 매월 1 회 전반적으로 타이어 점검을 받는 것이 좋다 .
2. 마모한계 1.6mm 이하인 타이어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
3. 타이어는 지정된 공기압을 유지하여 기온이 높은 여름철이나 고속도로를 주행할 때는 타이어 공기압을 10~15% 더 주입하기를 권장한다 .
4. 장거리 고속주행의 경우에는 계속적인 주행으로 인한 타이어 내부의 축적된 열을 식혀주기 위하여 2 시간 마다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
5. 불규칙한 타이어 마모를 방지해 수명을 연장하고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5,000km ~ 10.000km 를 주행한 뒤 위치를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 .
6. 상처 난 타이어는 운행 중 파열될 수 있으므로 , 가까운 판매점에서 점검하며 , 상처가 도달할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새 타이어로 교체해야 한다 .
7. 스페어 타이어는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기압 , 상처유무 , 남은 홈 깊이 등을 필히 점검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