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속에 술 단지 마주 놓고 짝 없이 혼자서 술잔 드네 .
밝은 달님 잔속에 맞이하니 달과 나와 그림자 셋이어라
달님은 본시 술 못하고 그림자 건성 떠돌지만
잠시나마 달과 그림자 동반하고 모름지기 봄철 한 때나 즐기고저
내가 노래하면 달님은 서성대고 내가 춤을 추면 그림자 흔들대네 .
깨여서는 함께 어울려 놀고 취해서는 각자 흩어져 가세
영원히 엉킴 없는 교유 맺고저 아득한 은하에서 다시만나리 .
이백 ( 李白 ·701~762) 의 ‘ 달 아래 홀로 술 들며 ( 月下獨酌 )’ 란 시다 . 아마 이백이 대작 ( 對酌 ) 할 상대가 없어서 , 잠시 혼자서 달과 벗하며 술을 마신 모양이다 . 친구가 없어 혼자서 마시는 술을 독작 ( 獨酌 ) 이라 한다 .
며칠 전 지인과 식사자리에서의 일이다 . 지인이 느닷없이 “ 혼자 술 마시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 라고 묻기에 얼른 대답하지 못했다 . 질문한 사람의 답이 “ 나뿐 놈 ” 이란다 . 그러면서 “ 불쌍한 놈 ” 이라고도 했다 . 문제와 답을 낸 이가 풀어내는데 , ‘ 놈 ’ 은 남자를 낮추어 부르는 말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 자 ( 者 )’ 를 의미한다 . 때문에 ‘ 나뿐 놈 ’ 은 ‘ 나 혼자뿐인 사람 ’ 이며 , 결코 ‘ 나쁜 놈 ’ 이 아니란다 . 또 ‘ 불쌍한 놈 ’ 은 ‘ 불쌍 ( 不雙 )’, 즉 쌍이 아니라는 뜻의 개그란다 . 결국 ‘ 나뿐 놈 ’ 이나 ‘ 불쌍한 놈 ’ 은 ‘ 혼자 술 마시는 사람 ’ 을 일컫는다 . 필자도 가끔은 ‘ 나뿐 놈 ’ 이 될 때가 많다 . 달 아래서 혼자 술잔을 드는 이백도 이런 우스갯말로 치면 ‘ 나뿐 놈 ’ 이 되는 것은 아닐까 ? 이백이야 달과 그림자를 친구 삼았으니 혼자가 아니라고 할지 모르지만 … .
이런 우스갯말을 생각해낸 것은 아마 우리의 ‘ 술잔 돌리기 ’ 문화와 무관하지는 않을 테다 . 음주문화는 나라마다 다르고 , 한 나라에서도 지방마다 다르다 . 서구의 경우 대부분 자기가 마실 만큼 자신이 따라 마시는 ‘ 자작 ( 自酌 ) 문화 ’ 가 많은데 반해 우리나라는 누구나 술잔을 주고받기를 즐기는 독특한 ‘ 수작 ( 酬酌 ) 문화 ’ 권이다 . 혼자서 술집에 들어가 술을 시키는 처량한 짓보다 여럿이 모여 술자리를 만들어야 흥이 나는 게 우리의 술 문화다 .
우리나라의 수작문화는 신라 화랑 ( 花郞 ) 들이 한 솥의 차를 나눠 마시며 공생공사를 다진 차례 ( 茶禮 ) 에서 비롯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 또 전통사회에선 관청에 대포 ( 大匏 · 큰 바가지 ) 라는 큰 술잔을 비치해놓고 날을 잡아 상하차별 없이 술잔을 돌려 마심으로써 일심동체를 다졌던 풍습이 있었다 . 어쨌거나 우리의 술 문화는 독작보다 수작이 훨씬 풍류가 있어 보이고 술맛도 난다 .
그런데 외국의 술 문화 탓인지 언제부턴가 혼자서 바에 앉아 술 마시는 모습이 자주 눈에 띈다 . 혼자서 술 마시는 남자는 여자를 필요로 하는 것이고 혼자서 담배 피우는 여자는 남자에 지쳤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는데 , 설마 여자가 필요해서 혼자 술을 마시지는 않겠지 .
어떤 30 대 초반의 남자가 인터넷에 이런 글을 올렸다 . “ 술을 자주 마십니다 . 일주일에 두세 번 정도 마시며 , 한 병 정도를 혼자 마십니다 . 사람들과 마시고 싶지만 , 같이 마실 사람이 없습니다 .” 그는 또 “ 사실 혼자 마시는 걸 더 즐깁니다 . 돈도 적게 듭니다 . 집에서 안주 만들어 마시지만 … .”
‘ 주선 ( 酒仙 )’ 조지훈이 꼽았다는 ‘ 주도 ( 酒道 ) 18 단 ’ 중에서 바둑으로 치면 6 급 정도 되는 단계를 ‘ 은주 ( 隱酒 )’ 라 했다 . 이는 ‘ 마실 줄 알고 겁내지 않으며 취할 줄도 알지만 돈이 아쉬워 숨어 마시는 사람 ’ 을 말하는데 , 우리 사회에도 점점 이런 ‘ 은주파 ( 派 )’ 가 많아지는 것 같아 씁쓸하다 .
나이 들어 술친구가 하나둘 떠나면 인생도 막을 내려야 한다 . 막 내리기 전에 처지 어려운 친구 불러내 대폿잔이라도 기울여 봄이 어떨까 .
글: ⓒ 김원하/삶과 술 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