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국인 방문 세계 22위

[미디어원=허세중] 지난 5 일 한국관광공사는 방한 해외 관광객 정보가 담긴 ‘2013 방한관광시장 분석 ’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 자료에 의하면 외국인 관광객 유치 실적에서 한국은 세계 22 위를 차지했고 , 141 억 불 가량의 관광 수입을 얻었다고 한다 .
2013 년 해외 관광객 방문은 전년 대비 9.3% 늘어난 12,175,550 명의 수치를 보인다 .
특히 국가 간 해외 방문객 입국 규모 비교에서 한국은 2008 년 34 위 , 2009 년 29 위 , 2010 년 27 위 , 2011 년 26 위 , 2012 년 23 위 , 2013 년 22 위 등으로 꾸준히 순위를 높여 왔으며 , 2013 년에는 아시아 국가 중에서 중국 (4 위 ), 태국 (10 위 ), 말레이시아 (11 위 ), 홍콩 (12 위 ), 마카오 (19 위 ) 등에 이어 6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
또한 해외 관광객의 방한은 2004 년부터 10 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 관광수입은 2013 년에 전년 대비 5.8% 증가한 141 억 불 ( 미화 , 잠정치 ) 을 기록하면서 7 년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방한 해외 관광객의 전체 82% 는 아시아권 관광객이며 특히 중국 관광객이 전년 대비 52.5% 증가한 4,326,869 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35.5% 를 차지하면서 , 점유율 22.6% 에 그친 일본 (2,747,750 명 , 전년 대비 21.9% 감소 ) 을 제치고 한국 관광통계 집계 사상 최초로 방한 관광의 제 1 시장으로 등극하였다 .
또한 , 중국 외에도 인도 (34.4%), 중동 (32.7%), 인도네시아 (26.8%), 필리핀 (20.9%) 등에서 한국을 찾은 관광객이 크게 늘어났으며 , 반면에 일본 , 호주 (-4.1%), 태국 (-3.8%), 독일 (-1.4%), 대만 (-0.7%) 등의 관광객은 전년에 비해서 다소 감소하였다 .
관광객의 입국 시기별로는 대표적 성수기인 7 월과 8 월에 관광객이 가장 많고 , 상대적으로 1 월과 2 월의 방한 관광객 비중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 이는 중국의 하계휴가 · 방학 수요 확대 , 크루즈 증편 등의 영향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방한이 7~8 월에 급증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
아울러 , 전체 해외 관광객 중에서 ‘ 여성 ’ 의 비중이 54% 로 ‘ 남성 ’ 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 연령별로는 ‘20 대 (21~30 세 )’ 의 비중이 21.9% 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
특히 , 연령대별 분석에서는 ‘20 세 이하 ’ 의 방한 규모가 전년 대비 9.8% 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관광공사는 이러한 증가의 이유를 중국 등의 학생을 포함한 대형 단체 방한의 활성화와 , 방한 관광시장에서 가족 여행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 이번 보고서에서는 최근의 해외 관광객 입국 추세를 토대로 올해 방한 해외 관광객은 2013 년에 비해 11.9% 증가한 1,360 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였다 . 또한 , 앞으로 매년 7% 이상의 성장을 지속하면서 2018 년에는 1,870 만명의 방한 해외 관광객 시장이 될 것으로 , 이 중 중국인 관광객은 연간 20% 안팎의 고성장을 지속하면서 2018 년에 1,000 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