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관광객입국 천만 넘었지만, 여행수지적자는 심화

(미디어원=강정호 기자)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도 관광수지는 적자 기조에서 도무지 헤어나오질 못하고 있다 . 적절한 해결책은 전무한 상태로 , 내수경기에 부담을 줄 요인으로 지목됐다 .

23 일 한국관광공사 관광통계에 따르면 , 지난달 국내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24 만 5777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했다 . 지난 8 월까지 누적 관광객은 940 만명 수준으로 ,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1% 늘어났다 .

이처럼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도 불구하고 관광수지는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 지난 8 월까지 관광수입 113 억달러 , 관광지출은 131 억달러로 , 18 억달러의 관광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

이에 대해 관련 업계는 내국인들의 해외여행이 꾸준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 국내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일본에서 중국으로 이동하면서 1 인당 지출액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

인바운드 여행업계 관계자는 " 중국 관광객을 요우커 큰 손으로 부르고 있지만 실제로 제로 투어피 등의 저가경쟁이 치열해 많은 중국인을 유치해도 예전 일본 관광객이 호황을 누리던 시절보다 수익은 악화되고 있다 " 고 토로했다 .

한정된 관광자원도 관광수지 적자의 요인으로 지목됐다 . 지방 관광지의 경우 이동시간 등 거리상의 문제로 이동하는 데 한계가 있어 도심 위주의 쇼핑관광이 대부분이다 . 이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에 한계가 있어 악순환의 요인으로 지목된다 .

A 업체 관계자는 " 마땅히 둘러볼 관광지가 없어 나흘 일정 중 이틀 정도는 쇼핑관광을 하고 있다 " 며 " 쇼핑 외에 외국인 지출은 미미한 편 " 이라고 말했다 .

도심 쇼핑 위주로 여행상품을 짜다 보니 명동 , 동대문 , 홍대 , 압구정 일대 등 관광 지역이 한정돼 있어 쇼핑 메리트가 사라졌을 때 외국인 관광객을 유인할 만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것도 업계의 공통된 우려다 .

문제는 내수가 쉽사리 회복되지 않는 상태에서 관광수지 역시 적자가 지속되면서 내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

전문가들은 스토리텔링 등 관광 콘텐츠의 개발과 관광 인프라 확충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의 재방문율을 높여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 특히 고품질 상품을 통해 인바운드 업계의 저가 경쟁이 지양돼야 하며 , 쇼핑위주의 관광도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하지만 뚜렷한 해결방안은 없다 .

업계 관계자는 " 지역별로 특색을 살린 관광 등 상품의 다양화가 이뤄져야 한다 " 며 " 관광인프라가 도심 위주가 아닌 전국 방방곡곡에서 확충돼야 한다 " 고 설명했다 .

또 다른 관계자는 " 저가상품 위주로 외국인 관광객을 공략하다 보니 상품 자체가 천편일률적이고 , 1 인당 지출액도 줄고 있다 " 며 " 열악한 인바운드업계가 한정된 자원으로 고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관광상품을 만들기에는 한계 " 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