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디자인, 인문학과의 융합으로 ‘의료의 르네상스’ 도래

‘ 빠른 것이 느린 것을 삼키는 시대 ’ 의료혁신의 절대적 흐름
이왕준 이사장은 헬스케어의 이노베이션과 함께 지난 120년간 지속되어 온 의학교육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어야 한다며 그 방향을 ‘인문학과의 융합’으로 제시했다.
“ 의료와 IT 의 융합은 이미 현실이 되어 있고 이제는 서비스디자인을 넘어 ‘ 인문학 ’ 과의 만남을 통해 ‘ 의료의 르네상스 ’ 도래가 남아 있습니다 .”

지난 31 일 창립 이후 첫 학술대회를 개최 , 헬스케어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한 한국헬스케어디자인학회 이왕준 초대 이사장 ( 명지의료재단 이사장 ) 의 말이다 .

보건의료분야의 전문가와 디자인 , 건축 , IT, 인문학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융합형 학회가 ‘ 한국헬스케어디자인학회 ’ 이다 .

이왕준 이사장은 “ 헬스케어 분야에 인문학적 사고 , 디자인의 창의성 , IT 의 혁신성을 도입한 창의적인 융합을 위해 지난 3 월 협회를 창립하게 되었으며 , 이후 수차례에 걸쳐 관련 세미나를 개최 , 헬스케어 혁신의 핵심인 ‘ 만성질환 ’ 을 주제로 채택 , 각 분야 전문가들의 경험과 지식 , 아이디어를 공유하게 된 것 ” 이라고 이번 학술대회 배경을 설명했다 .

디자인의 개념이 과거에는 미학적 접근에 머물렀지만 시대가 변화하면서 서비스디자인처럼 상품이나 프로세스가 개발되는 전 과정을 아우르는 ‘ 융합적 개념 ’ 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 . 즉 , 기존의 비주얼적인 디자인이 서비스디자인으로 실용성을 포함하게 됐고 , 결국 헬스케어 분야도 디자인과 만나 ‘ 융합적 관점에서 어떻게 혁신을 할 것인가 ’ 라는 새로운 화두를 제시하기에 이른 것 . 이왕준 이사장이 설명하는 헬스케어서비스디자인의 패러다임이다 .

이러한 변화의 급물살을 타게 된 것은 모바일 중심의 시대 도래가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는 이왕준 이사장은 “ 인간 활동의 중심이 24 시간 모바일을 중심으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소통이 가능해지면서 부터 헬스케어도 모바일 환경지배구조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기된 것 ” 이라고 덧붙였다 .
즉 , 새로운 IT 환경에서 헬스케어에 대한 접근 방식을 디자인 , 건축 , IT, 인문학 등 다학제적 관점으로 구현한다는 것이다 .

“ 의료가 IT 와 디자인과의 융합을 넘어 ‘ 인문학과의 만남 ’ 을 통해 헬스케어의 르네상스 시대를 창출하게 될 것 ” 으로 예견하는 이 이사장은 “ 역사적으로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 그 한계성을 넘는 데에는 풍부한 상상력과 철학 , 인간의 실생활에서 비롯된 인문학이 결정적 역할을 담당해 온 것 ” 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

이 이사장은 헬스케어의 이노베이션과 함께 지난 120 년간 지속되어 온 의학교육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어야 한다며 그 방향을 ‘ 인문학과의 융합 ’ 으로 제시했다 .
“ 의료가 의사 중심이거나 의학지식 독점 행테가 아닌 IT 와 디자인 , 인문학 등과 같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을 거듭할 필요가 있다 ” 며 “ 의술 중심이 아닌 품성과 덕성까지를 포함하는 의학교육의 리디자인이 절실하다 ” 고 강조했다 .

이와 함께 변화에 대한 대응이 늦은 기득권층 또는 보수층으로 분류되는 의사집단이 급변하는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발 빠르게 반응하며 대처하고 변화해가는 것이 미래지향적인 헬스케어서비스 발전의 중요한 요소이며 성패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
이 이사장은 “ 큰 것이 작은 것을 잡아먹는 시대가 아니라 , 빠른 것이 느린 것을 삼키는 시대 ” 라는 말로 의료혁신의 절대적 흐름을 표현했다 .

한편 , 이날 중앙대병원 동교홀에서 개최된 한국헬스케어디자인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는 광고대행사 , 마케팅 통합 플랫폼 전문가 , 건축설계사 , 디자인 전문가 , 헬스케어서비스업체 대표 , 통신사 관계자 등 다양한 부냐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 제공자와 수요자의 행복 정점 찾기 ’ 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