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정인태 기자) 최근 스마트폰 , 전기자동차의 증가와 더불어 배터리 충전을 위해 충전장치에 연결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 일정 거리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충전이 가능한 무선충전 출원건수가 최근 5 년간 증가하고 있다 .
특허청 ( 청장 김영민 ) 에 따르면 , 무선충전 기술과 관련한 특허출원은 최근 5 년 동안 797 건 출원되었고 , 근접거리만 충전할 수 있는 자기유도방식은 2009 년 102 건에서 2013 년 54 건으로 감소한 반면 , 멀리서도 충전할 수 있는 자기공진방식은 2009 년 48 건에서 2013 년 87 건으로 증가 추세를 보여 무선충전 기술이 자기유도방식에서 자기공진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것으로 , 기술적으로 크게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으로 구분된다 . 자기유도방식은 충전패드에서 수 mm 의 근접거리 충전이 가능하고 전송효율이 높은 반면 , 자기공진방식은 일정 거리에서 여러 제품을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지만 , 전송효율이 낮고 , 전자파 차단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
2009 년 ~2011 년 3 년간 자기유도방식에 대한 국내출원 206 건 중 절반 (100 건 ) 은 KAIST 가 출원한 것으로 , 이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OLEV(Online Electric Vehicle) 프로젝트를 통해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충전과 관련한 기술의 IP 창출을 위해 집중적으로 노력한 결과이다 .
자기공진방식에 대한 국내출원은 최근 5 년간 355 건으로 기업이 67%(223 건 ) 를 차지하고 있다 . 특히 2009 년 2 건에서 2013 년 64 건으로 높은 출원 증가율을 보이는 이유는 자기공진방식 무선충전연합 (A4WP) 의 표준규격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 먼 거리에서도 자유롭게 무선충전이 가능한 상용화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로 보인다 .
※ 삼성전기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14 년 1 월 CES( 국제전자제품박람회 ) 에서 자사 제품 ( 충전패드와 단말기가 3cm 떨어진 거리 ) 에 대해 세계 최초로 자기공진방식 무선충전연합 A4WP 의 공식 인증을 받음 .
향후 , 무선충전 기술은 2013 년 세계경제포럼 (WEF) 산하 ‘ 유망기술 글로벌아젠다위원회 ’ 가 선정한 ‘ 세계 10 대 유망기술 ’ 에 포함되어 주목받은 무선충전 전기자동차와 같이 충전 배터리가 장착되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것이며 , IMS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무선충전 시장은 2013 년 3 억 8000 만 달러에서 2017 년 75 억 달러로 매년 100% 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특허청 관계자는 “ 향후 자기공진방식 무선충전 기술이 실생활에 구현되면 , WiFi 를 이용하는 것처럼 어디서나 충전기 없이 휴대폰 , 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시기가 올 것 ” 이라며 이를 위해 “ 충전효율 향상 , 전자파 차단기술 개발 , 소형화 등이 동시에 연구개발 될 수 있도록 강한 특허창출을 위한 특허확보전략 (IP-R&D) 의 계획과 실행이 중요하다 ”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