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 1분기 실적, 유가하락과 여행객 증가 두 날개로 날다

( 미디어원 = 구윤정 기자 ) 유가하락과 여행객 증가란 호재에 힘입어 항공업계의 올해 1 분기 실적이 크게 뛰어올랐다 .
15 일 저비용 항공업계에서 선두에 서 있는 제주항공이 올해 1 분기 사상 최고의 영업실적을 올렸다고 공시했다 . 매출은 역대 최고였던 지난해 3 분기 1436 억원보다 8 억원 많은 1444 억원을 달성했고 ,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57 억원이 늘어났다 . 영업이익도 211 억원으로 2014 년 3 분기에 실현했던 역대 분기 최고 영업이익 167 억원을 경신했다 . 지난해 1 분기 영업이익 49 억원보다는 세 배 이상 많은 실적이다 .

이에 앞서 대한항공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올 1 분기 매출 2 조 8712 억원 , 영업이익 1899 억원의 실적을 냈다고 14 일 알렸다 . 유가하락으로 유류할증료 수입이 줄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지만 ,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무려 787% 나 증가했다 . 지난해 4 분기 영업이익 (1529 억원 ) 과 비교해도 300 억원 이상 늘었다 .

아시아나항공도 1 분기 성적표가 좋다 .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5% 줄어든 1 조 4079 억원이지만 ,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적자에서 올해 770 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

이처럼 항공업계가 전통적인 비수기인 1 분기에 높은 실적을 올린 데는 국제 유가 하락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
대한항공은 이 기간에 유류비가 전년 동기 대비 2443 억원 , 아시아나항공은 같은 기간 유류비가 1600 억원 줄었다 . 제주항공도 같은 기간에 90 억원의 유류비를 절감했다 .
게다가 유가 하락으로 소비자가 부담하는 유류할증료도 떨어져 항공료가 하락하면서 관광객이 늘어나는 효과도 나타났다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둘 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수송객이 8% 증가했으며 , 제주항공은 25% 나 성장세를 보였다 .
항공업계는 이런 실적 흐름이 2 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 대한항공 이상익 차장은 “ 최근 유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지난해보다는 낮고 , 2 분기는 5 월 황금연휴와 허니문 · 수학여행 수요 등이 겹쳐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상된다 ” 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