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행관광 경쟁력 4계단 하락…가격 경쟁력은 꼴찌수준

( 미디어원 = 정현철 기자 ) 세계 주요국가들 가운데 한국의 여행 · 관광 부문의 경쟁력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 특히 가격 경쟁력이 거의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관광산업활성화를 위한 가격경쟁력 향상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

세계경제포럼 (WEF) 의 ‘2015 여행 · 관광 경쟁력 ‘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이 부문 종합경쟁력에서 29 위를 기록 , 2013 년 조사에 비해 4 순위 밀려났다 .
이번 결과는 WEF 가 전 세계 141 개국을 대상으로 ▲ 관광환경 ( 비즈니스 , 신변 안전 , 보건 · 위생 , 정보통신기술 ) ▲ 여행 · 관광정책 ( 산업 민영화 , 국제 개방 , 가격경쟁력 , 지속가능 환경 ) ▲ 인프라 ( 공항 , 육상 · 항만 , 여행 서비스 ) ▲ 자원 ( 자연환경 , 문화유적 ) 등 4 개 범주의 90 여 개 부문을 평가해 나온 것이다 .
140 개국 대상의 2013 년 조사에서 6 위였던 스페인은 프랑스 (2 위 ) 와 독일 (3 위 ) 을 제치고 정상을 차지했다 . 유럽에서는 영국 , 스위스 , 이탈리아 등 6 개국이 톱 10 에 이름을 올렸다 .

한국은 ‘ICT'(5.97 점 )’, ‘ 보건 · 위생 ‘(6.36 점 )’ 에서 각각 11 위와 16 위에 올랐으나 가격 경쟁력 (4.06 점 ) 은 109 위 , 사업환경 (4.44 점 ) 은 69 위에 머물렀다 . 특히 가격 경쟁력은 2013 년도 (96 위 ) 에 비해 13 계단 아래로 떨어졌다 .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한국의 가격 경쟁력이 낮게 나온 이유로 , 관련 물가 인상과 원화 가치의 단기적 변동 등을 꼽았다 .
또 선진국일수록 낮게 나오는 구매력 평가지수 (PPP. 환율 · 물가 수준을 감안해 구매력을 평가한 환율 ) 와 유가 가격지수 , 호텔가격지수 (78 위 ) 등을 주요 지표로 평가 , 개도국이나 산유국에 비해 불리한 측면이 있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
실제로 원유 생산국인 이란은 가격경쟁력에서 1 위를 차지한 반면 , 선진국 스위스는 꼴찌 (141 위 ) 로 이름을 올렸다 . 한국은 가격경쟁력에서 인도네시아 (3 위 ), 인도 (8 위 ) 는 물론 중국 (34 위 ) 과 대만 (38 위 ) 에 비해서도 크게 밀렸다 .
종합 여행 · 관광 경쟁력에서 일본은 2 년 전 (16 위 ) 보다 7 계단 오른 9 위로 평가됐다 . 중국은 생물의 개체수 증가 등 자연자원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47 위에서 17 위로 30 계단을 수직 상승했다 .

국가채무 디폴트와 ‘ 그렉시트 ‘(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 위기로 관광객이 급감한 그리스는 31 위로 30 위권 밖으로 밀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