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원 = 정현철 기자 ) 메르스 사태가 한달을 넘기면서 메르스로 인한 경기침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 특히 관광객 수 감소에 따른 관광산업의 타격이 큰 가운데 정부에서는 이들 관광업계에 대한 지원방안을 내 놓은바 있다 .
하지만 정부의 메르스 (MERS) 관련 관광업계 지원방안을 보다 현실성 있게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 관련 협회들을 중심으로 이를 정부에 건의할 전망이다 .
지난 15 일 정부가 ‘ 메르스 대응 및 관광업계 지원방안 ’ 을 발표한 내용에 대해 각 협회들도 후속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 전국 지역별관광협회 회장단 협의회는 지난 16 일 서울에서 긴급모임을 갖고 메르스 관련 여행업계 피해상황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모색했다 . 서울시관광협회는 이날 회원 여행사들을 방문해 메르스로 인한 애로사항을 듣고 구체적인 지원대책을 강구하고 나섰다 . 한국여행업협회 (KATA) 도 여행사를 통해 고객 예약취소 현황과 건의사항을 조사하고 있다 . 대정부 건의는 개별 협회 차원에서는 물론 한국관광협회중앙회를 통해서도 이뤄질 전망이다 .
관광사업자 대상 특별융자의 문턱이 너무 높다는 점은 이번에도 개선 필요성이 높다는 지적을 받았다 . 이는 특별융자의 담보 부담 때문이다 . 긴급 운영자금이 필요한 여행사 대부분 영세업체여서 은행이 요구하는 담보를 제공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한마디로 ‘ 그림의 떡 ’ 이라는 이유에서다 . 담보 제공에 어려움을 겪는 영세업체의 경우 지역신용보증재단 등의 특별보증제도를 이용하면 된다지만 이 역시 영세업체의 경우 신용도가 충분치 않아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다 . 서울시협은 “ 담보 관련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특별융자는 자칫 ‘ 그림의 떡 ’ 에 불과할 수 있는 만큼 담보조건 완화가 필요하다고 건의할 방침 ” 이라고 설명했다 .
종사자 휴직수당 및 훈련비 지원 대책도 현장에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평가다 . 유급 휴직을 실시할 경우 최대 180 일 범위 내에서 월급여의 3 분의 1 에서 2 까지 지원한다는 게 골자인데 , 경영난에 처한 업체 대부분은 유급 휴직을 실시할 여유도 없다는 지적이다 .
KATA 는 여기에 추가적으로 학생들의 여름방학 일수 사수에 나설 계획이다 . 메르스로 인해 휴업을 실시한 학교들이 수업일수를 채우기 위해 여름방학 기간을 줄이면 여행업계는 또 다시 피해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수업일수 충족을 위해 여름방학 단축이 불가피하다면 최소한 시기를 분산해서 실시해야 여행업계의 추가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게 KATA 의 입장이다 .
서울시협은 여행취소로 인한 관광사업체 간의 위약금 문제에 대해서도 해법마련을 건의할 예정이다 . 여행사와 항공사 , 호텔 간의 B2B 거래에서도 메르스 여행취소로 인한 위약금 부과 문제가 상당한 마찰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민간 사업자 간의 거래에 정부가 개입할 여지가 없다는 점에서 해법 도출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