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미 현대 미술가 9명의 “Meeting Point” 전시 개최

(미디어원=이상술 기자)주미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 원장 : 박명순 ) 은 오는 11 월 10 일부터 11 월 30 일까지 미팅 포인트 (Meeting Point) 란 주제로 한국과 미국에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현대 작가 9 인의 전시회를 개최합니다 . 이번 전시회에는 오종현 (Jonghyun Oh), 윤보현 (Bohyun Yoon), 이승아 (Seungah Lee), 정지필 (Jipil Jung), 최선 (Sun Choi), 최원정 (WonJung Choi), 벤 스토우 (Ben Stout), 아만다 레치너 (Amanda Lechner), 존 라즈코비치 (Jon Rajkovich) 가 참여합니다 .
설치 , 판화 , 회화 , 사진 , 조각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20 여 점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 여러 가지 주제와 매체를 통해 꾸준한 작업을 지속해온 동시대의 작가들이 생각하는 이슈들과 다양한 담론들을 문화적 , 사회적 , 정치적인 “ 관계 ” 속에서 발전시키고 , 이러한 과정 속에서 형성되는 상호연관성을 통해 서로 영향을 받으며 더불어 관람객들과 새롭게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
오종현 작가의 설치 작품은 우리 삶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 섬세한 공간 구성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공간을 지배할 수 없는 한계를 표현합니다 . 홍익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한 오 작가는 뉴욕의 School of visual arts 순수미술과 석사 졸업 후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윤보현 작가의 “To reverse yourself” 는 관객의 참여를 유도합니다 . 두 사람이 마주서서 얼굴 모양이 파져 있는 거울 판에 얼굴을 들이 밀면 자신 얼굴과 타인의 몸이 결합돼 보이는 착시 현상을 확인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성찰하게 만듭니다 . 윤 작가는 일본 타마 예술대학교 유리과 학 · 석사를 마친 후 미국 로드아일랜드디자인대학 유리과 석사 졸업 후 버지니아 커먼 웰스 대학에서 가르치며 미국 , 한국 ,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이승아 작가는 일상생활에서 교묘하게 드러나거나 때로는 보이지 않는 개인적 , 집단적 문제를 실크스크린 판화 “ Ordinary life I, II” 를 통해 묘사했습니다 . 이 작가는 이화여자대학교 회화과 학 · 석사 졸업 후 , 미디어 디자인 박사를 수료하였고 , 런던 골드스미스대학교 인터랙티브 미디어과 석사를 마치고 현재 싱가포르 ,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
정지필 작가는 캄캄한 밤 , 술에 취해 길에서 쓰러져 있는 취객의 모습을 조명하며 위태로운 일상을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사진 작품으로 표현하였습니다 . 정 작가는 중앙대학교 사진학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조형예술과에 재학 중에 있습니다 .
최선 작가는 관습적 예술의 의미에 대한 질문과 보이지 않는 가치를 연구하며 손 없고 눈 없는 한센병 할머니들의 그림 ” 뉴스 (News)” 를 통해 한국 사회의 위험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최 작가는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 하였으며 일본 , 뉴욕 한국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
최원정 작가의 앤틱 실버 웨어로 만든 “Fearless” 는 자아 성찰을 통해 하이브리드 되어 가는 물고기의 아이덴티티를 위한 갑옷을 시각화 하였습니다 . 현재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유기체에 의한 돌연변이와 진화의 과정은 현재 사회와 문화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발전하는 작가 스스로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 최 작가는 한국 홍익대학교 조각과 학 , 석사 및 미국 School of Visual Arts 순수미술과 석사를 마쳤으며 뉴욕을 중심으로 활동을 해오고 있습니다 .
아만다 레치너 (Amanda Lechner) 작가는 달걀 노른자와 안료를 섞은 템페라 화법을 사용하며 과학적 사실과 초자연적 현상은 메마르지 않는 아이디어의 원천이라는 전제하에 현실의 본성 , 역사 , 성별과 개인적인 경험 등 이야기를 풀어 놓습니다 . 레치너 작가는 미국 캔자스대학교 학사 및 로드아일랜드디자인대학교 회화과 석사를 마치고 뉴 멕시코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벤 스토우 (Ben stout) 의 “Eye Level Participation” 은 석고가 들어 있는 풍선들을 두 명 또는 여러 명의 사람들이 함께 누르는 행위를 통해 개인들 관계의 힘과 의존성 , 진실성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스토우 작가는 캔자스 시티 아트 인스티튜드와 오하이오 대학교에서 도자기를 공부하였고 필라델피아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존 라즈코비치 (Jon Rajkovich) 는 작품의 주재료인 나무가 플라스틱처럼 , 플라스틱이 금속처럼 보이게 착각을 일으키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이러한 과정은 현대문화에서는 흔한 일이자 필요한 일이 되었고 이 현상을 조각 작품으로 표현했습니다 . 라즈코비치 작가는 미시간대학교 및 윈스럽 대학교 조각과를 졸업했고 , 버지니아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이번 전시를 기획한 최원정 , 이승아 작가는 " 작가들 간의 다른 매체를 통한 다양한 목소리를 어떻게 이 전시를 통해 심화하여 풀어낼 수 있을지는 흥미로운 과정이 될 것입니다 . 마인드 맵 (Mind Map) 의 무수한 단어들의 연결고리들과 그들이 만나는 미팅포인트 (Meeting Point) 속에서 새로운 의미와 예술가들의 역할 본질의 진화되는 과정을 이 전시를 통해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라고 전했습니다 .
전시 개막 행사는 11 월 10 일 ( 화 ) 오후 6 시 한국문화원에서 열리며 , 행사참가는 무료이나 사전 예약이 필요합니다 . 주차 공간이 협소한 탓에 대중교통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 문 의 : 주미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윤지영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