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 최근 5 년간 발바닥 통증 ‘ 족저근막염 ’ 2 배 증가 조사 발표
(미디어원=강정호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 ( 이사장 성상철 ) 이 2010 년 ~2014 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 ‘ 족저근막염 (M72.2)’ 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0 년 9 만 1 천명에서 2014 년 17 만 9 천명으로 약 2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4 년 성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 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윤한국 교수는 족저근막염의 증가이유에 대해 “ 갑자기 운동량이 많아졌거나 걷기를 오래 한 경우 발생하기 쉬운데 최근 취미 생활의 증가로 인해 등산 , 조깅 , 에어로빅 등과 같은 운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족저근막염의 발생율도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 고 말했다 .
2014 년 성 · 연령별 인구 10 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 남성의 경우 30 대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는 증감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
반면에 여성의 경우 50 대 (782 명 ), 60 대 (618 명 ), 40 대 (563 명 )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 40~60 대를 살펴보면 남성에 비해 여성이 확연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윤한국 교수는 족저근막염이 40~60 대 여성에게서 많이 발병하는 이유에 대해 “ 높은 연령에 체중이 많이 나가고 ,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족저근막의 유연성이 감소할 수 있다 . 이런 경우 , 갑자기 심한 운동을 한다면 족저근막염이 잘 생길 수 있다 . 이를 고려하면 40 대에서 60 대 여성에서 많이 발병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고 덧붙였다 .
‘ 족저근막염 ’ 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 년 77 억 5 천만원 ( 공단부담금 , 52 억 7 천만원 ) 에서 2014 년 160 억 9 천만원 ( 공단부담금 , 109 억 6 천만원 ) 으로 연평균 20.0%( 공단부담금 20.1%) 증가하였다 .
2014 년 기준 , 진료형태별로 총진료비 ( 공단부담금 ) 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외래 68.8%( 공단부담금 67.1%), 약국 27.4%( 공단부담금 28.6%), 입원 3.8%( 공단부담금 4.3%) 으로 외래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윤한국 교수는 ‘ 족저근막염 (M72.2)’ 의 원인 , 치료법 ,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 족저근막염의 원인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생길 수 있으며 반복적인 미세 외상에 의한 일종의 과사용 증후군으로 갑자기 운동량이 많아졌거나 걷기를 오래 한 경우 잘 발생한다 . 추측되는 위험인자로는 등산 , 조깅 , 에어로빅 , 갑자기 운동량이 증가한 경우 , 중년에서 과체중으로 인한 족저부의 과도한 부하 , 아킬레스 건으로 단축과 근력저하로 근막에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경우 , 점프등과 같은 갑작스런 족저부의 외상 , 딱딱한 바닥의 신발이나 굽이 높은 하이힐 등의 불편한 신발 착용 , 오목발 , 평발 , 당뇨 , 관절염 등이 있을 수 있다 .
◇ 족저근막염 치료법
90% 이상에서 보존적 치료만으로 회복이 되며 회복 기간은 대개 6 개월 이상 , 비교적 천천히 회복되므로 치료에 있어서 인내심이 요구된다 . 증세가 없어진 후에도 활동을 점진적으로 서서히 늘려야 재발이 생기지 않으므로 주의가 요구되며 , 증세가 오래될수록 보존적 치료의 효과가 적어지므로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
족저근막이 쉬거나 잘 때 수축되어 있다가 갑자기 펴지면서 통증이 발생하므로 스트레칭 운동은 치료의 기본이며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 무릎을 편 상태에서 발목을 발등 쪽으로 서서히 구부려주는 족저근막의 스트레칭 운동과 벽을 마주보고 서서 발바닥을 바닥에 붙인 후 벽 쪽으로 미는 아킬레스건 스트레칭 운동이 매우 도움이 되며 족욕이나 마사지 등의 물리치료를 병행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발뒤꿈치 패드와 보조기 등은 발뒤꿈치 지방 패드를 감싸서 체중 부하 시에 패드가 얇아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와 쿠션 효과를 목적으로 할 수 있으며 밤사이에 족저근막을 스트레칭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야간 부목 등도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부목의 경우 장기간의 사용은 근육 위축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
그 외에 스테로이드의 국소 주사나 비스테로이성 소염 진통제도 증상의 호전을 가져오기도 하나 그 효과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있어 일시적으로 나타나며 만성인 경우에는 임상적인 유용성은 뚜렷하지 않다 .
약 6 개월에서 1 년 정도의 기간 동안 모든 비수술적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이에는 족저근막의 일부를 절제하거나 골극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치료효과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므로 전문의와 상의하여 신중히 선택하여야 한다 .
◇ 족저근막염 예방 및 관리요령
족저근막염은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으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하는 것으로 환자 자신의 노력과 인내력이 중요하다 . 직업이나 평소 활동 정도 , 건강상태 등을 파악하여 족저근막의 긴장을 증가시키는 행동을 할 경우 통증이 심해진다는 사실을 주지하여 체중감소 및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 등산 , 골프 , 달리기 , 걷기와 같은 체중 부하 활동을 줄이도록 운동방법을 변경하며 , 평소에 족저근막 스트레칭 및 아킬레스 건 스트레칭을 통한 유연성 유지에 6 개월 이상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