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의 명상 · 조병화 육필원고전 , 안성 조병화문학관에서 개최
( 미디어원 = 박예슬 기자 ) 조병화문학관은 故 편운 조병화 시인의 예술혼의 산실 청와헌 ( 靑蛙軒 ) 준공 30 주년을 기념하여 5 월 13 일부터 10 월 31 일까지 ‘ 개구리의 명상 · 조병화 육필원고 展 ’ 을 개최한다 . 본 전시의 개막식은 5 월 13 일 12 시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난실리소재 조병화문학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
‘ 개구리의 명상 · 조병화 육필원고 展 ’ 은 조병화 시인이 청와헌에 머물며 쓴 제 40 시집 ’ 개구리의 명상 ’ 의 육필원고 30 여점과 청와헌 건립 당시의 사진 , 방명록 , 유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또한 전시 개막을 기념한 연계 강연으로 강정구 문학평론가의 ‘ 고향 , 어머니 : 삶의 근원에 대한 명상 ’ 이 펼쳐진다 .
강연 이후에는 종로문인협회와 안성문인협회 회원들의 축하 시낭송회도 열린다 .
청와헌은 안성이 낳은 시인 조병화가 교직에서 퇴임한 후 귀향을 위하여 1987 년 편운재 옆에 지은 집이다 . 청와헌은 난실리 들판에서 자욱이 들려오는 개구리 울음 소리를 듣는다는 명상적 의미를 담고 있다 .
조병화 시인은 이 집에서 창작활동을 이어가며 버스정거장 , 마을 쉼터를 비롯하여 어린이놀이터를 만들고 ‘ 우리 난실리 ’ 시비 , 장승 , ‘ 꿈 ’ 깃발을 세우는 등 다시 만난 이웃들과 고향 가꾸기에 힘을 기울였다 .
정부에서도 이 점을 기리기 위하여 난실리를 ‘ 문화마을 ’ 로 지정하기도 하였다 ( 문화부제 90-2 호 , 1990 년 6 월 13 일 ). 이와 같이 청와헌은 조병화 시인의 노년의 명상과 고향 사랑의 터가 된 기념물이다 .
시인의 장남인 조진형 관장은 “ 개구리의 명상은 시인의 철학 중에서도 인간과 고향 , 그리고 어머니에 대한 명상이 전개된 시집으로 시인의 남다른 애향정신이 담겨있다 ” 며 “ 본 육필원고전이 뿌리를 잊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자신의 근원을 돌아보게 하는 기회가 되리라고 생각된다 ” 고 밝혔다 .
조병화문학관 개요
조병화 문학관은 문화관광부에 의해 안성시 난실리 마을이 문화마을로 지정되면서 국고의 지원을 받아 1993 년에 지은 건물로 조병화 시인 관련 기획 전시물 , 저작도서 및 유품을 전시하고 있다 . 대지 315 평에 연건평 85 평 규모의 2 층 건물이며 8 평 규모의 부속건물 ( 관리동 ) 이 있고 1 층에 전시실 2 실 , 2 층에 소전시실 2 실과 20 평 규모의 세미나실을 갖추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