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년 3 월 항공운송동향 및 분석
2017 년 3 월 항공여객은 내국인 여행수요 상승과 일본 · 동남아 관광객 증가 등으로 전년 동 월대비 8.9% 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 항공화물은 국제화물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대비 10.1% 상승했다.
▶ 국제여객
원화강세로 인한 내국인 해외여행수요의 상승 , 일본 · 동남아 관광객 증가 , 저비용항공사 공급 확대 등으로
9.6% 성장한 607 만명으로 역대 3 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 5년간 국제여객은 2013년 3월 416만 명, 2014년 430만명, 2015년 511만명, 2016년 554만명, 2017년 3월 607만명으로 약 10% 내외의 상승률을 지속했다.
지역별로는
일본 (22.8%)· 동남아 (23.1%) 등 중 · 단거리 지역과 유럽 (24.1%) 등 장거리 노선 수요는 증가세를 보였으나 , 중국노선 (-22.5%) 은 감소세를 기록했다.
( 단위 : 명 )
일본
중국
동남아
미주
유럽
대양주
기타
2016 년 3 월
1,259,218
1,464,316
1,903,987
354,399
305,305
178,464
72,389
2017 년 3 월
1,546,294
1,134,261
2,343,506
366,051
379,015
212,959
86,741
전년대비 (%)
22.8
-22.5
23.1
3.3
24.1
19.3
19.8
주 : 동남아는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 전체 포함
여객 점유율면에서는 동남아 노선의 여객 점유율이 저비용항공사 운항확대로
전년 동월대비 4.2%p 증가한 38.6% 로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 일본노선 여객 점유율은 25.5%, 중국노선은 18.7% 차지하는데 그쳤다.
각 공항별 추이를 보면
국제노선을 다변화한 대구 (238.0%)· 김해 (23.0%)· 인천 (11.6%) 공항은 증가한 반면 중국노선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주 (-58.7%)· 청주 (-57.3%)· 무안 (-27.5%) 공항은 두 자릿수의 상당한 감소세를 기록했다.
제주공항은 중국 · 대만 · 마카오 등의 운항횟수 축소 (1574→966 회 , -38.6%), 청주공항은 중국노선 운 항횟수 축소 (266→124 회 , -53.4%) 로 인해 여객이 대폭 감소했따.
한편 인천 공항은 일본 · 동남아 등 중 · 단거리 노선과 유럽 · 대양주 장거리 노선의 수요 증가로 전년 동월대 비 11.6.% 증가했으며 김해 공항은 일본과 말레이시아 · 베트남 등 동남아 노선 , 휴양지인 괌 · 사이판 등 대양주 노선의 운항 증대로 인해 전년 동월대비 23.0% 증가, 대구공항은 저비용항공사의 대만 · 일본노선 증편과 세부 및 괌 등 노선 다변화로 인해 전년 동월대비 238.0% 증가했다.
( 단위 : 명 )
인천
김해
김포
제주
대구
청주
무안
2016 년 3 월
4,302,154
586,771
355,867
220,236
26,126
35,324
11,600
2017 년 3 월
4,801,421
721,472
343,229
90,892
88,315
15,087
8,411
전년대비 (%)
11.6
23.0
-3.6
-58.7
238.0
-57.3
-27.5
항공사별 : 국적 대형항공사의 여객 운송량은 전년 동월대비 1.6% 감소
( 출발 및 도착여객 )
공급석 ( 명 )
국제여객 ( 명 )
탑승률 (%)
‘16 년 3 월
‘17 년 3 월
증감 (%)
‘16 년 3 월
‘17 년 3 월
증감 (%)
‘16 년 3 월
‘17 년 3 월
증감 (%)
국적 대형 항공사
대한항공
2,020,026
1,978,199
-2.1
1,519,234
1,509,393
-0.6
75.2
76.3
1.1
아시아나항공
1,384,640
1,361,676
-1.7
1,103,077
1,071,545
-2.9
79.7
78.7
-1.0
소계
3,404,666
3,339,875
-1.9
2,622,311
2,580,938
-1.6
77.0
77.3
0.3
저비용 항공사
에어부산
200,408
271,963
35.7
161,864
220,292
36.1
80.8
81.0
0.2
에어서울
0
78,585
순증
0
57,312
순증
–
72.9
–
이스타항공
184,951
224,321
21.3
155,809
201,023
29.0
84.2
89.6
5.4
제주항공
366,645
496,632
35.5
291,194
437,546
50.3
79.4
88.1
8.7
진에어
346,237
463,815
34.0
263,380
390,606
48.3
76.1
84.2
8.1
티웨이항공
149,046
257,490
72.8
112,807
214,456
90.1
75.7
83.3
7.6
소계
1,247,287
1,792,806
43.7
985,054
1,521,235
54.4
79.0
84.9
5.9
국적사 계
4,651,953
5,132,681
10.3
3,607,365
4,102,173
13.7
77.5
79.9
2.4
외항사 계
2,542,588
2,578,647
1.4
1,930,713
1,966,654
1.9
75.9
76.3
0.4
총 계
7,194,541
7,711,328
7.2
5,538,078
6,068,827
9.6
77.0
78.7
1.7
▶ 국내여객
중국노선 비운항에 의한 제주 · 김해공항 여유슬롯 및 여력기재의 국내선 운항 활용과 내국인의 제 주여행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7.2% 증가한 244 만명 기록 했다.
* 국내여객 ( 만 명 ) : 160(’13.3) → 184(’14.3) → 210(’15.3) → 228(’16.3) → 244(’17.3)
공항별 : 여수 (23.6%) ․ 대구 (18.8%) ․ 청주 (17.9%) 공항은 두 자릿수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 그 밖 의 공항들도 모두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별 : 국적 대형항공사의 국내여객 운송량은 102 만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6.0% 증가하였고 , 저비용항공사는 143 만 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8.0% 증가
( 출발 및 도착여객 )
공급석 ( 명 )
국제여객 ( 명 )
탑승률 (%)
‘16 년 3 월
‘17 년 3 월
증감 (%)
‘16 년 3 월
‘17 년 3 월
증감 (%)
‘16 년 3 월
‘17 년 3 월
증감 (%)
국적 대형 항공사
대한항공
800,844
838,486
4.7
552,583
597,369
8.1
69.0
71.2
2.2
아시아나항공
559,172
574,467
2.7
407,414
420,591
3.2
72.9
73.2
0.3
소계
1,360,016
1,412,953
3.9
959,997
1,017,960
6.0
70.6
72.0
1.4
저비용 항공사
에어부산
347,073
375,713
8.3
290,168
306,924
5.8
83.6
81.7
-1.9
이스타항공
232,526
259,396
11.6
195,016
227,071
16.4
83.9
87.5
3.6
제주항공
405,459
401,247
-1.0
358,965
375,063
4.5
88.5
93.5
5.0
진에어
293,928
302,268
2.8
273,888
277,220
1.2
93.2
91.7
-1.5
티웨이항공
235,563
268,794
14.1
201,604
239,238
18.7
85.6
89.0
3.4
소계
1,514,549
1,607,418
6.1
1,319,641
1,425,516
8.0
87.1
88.7
1.6
총 계
2,874,565
3,020,371
5.1
2,279,638
2,443,476
7.2
79.3
80.9
1.6
자료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7.04.19. 국토교통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