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교사 5000명에 ‘AI 융합교육’ 역량강화 교육
AI영재학교‧거점고교 지정‧직업계고 융합학과 신설 등 추진
내년부터 유치원과 초·중학교에 AI 학습자료가 개발돼 보급되고 2학기에는 고등학교에 AI 과목이 신설된다. 2025년부터 전국 초·중·고교에 AI교육이 정식과목으로 도입된다.
교육부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9차 사회관계장관회의 겸 제7차 사람투자인재양성협의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AI시대 교육정책 방향과 핵심과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전국 초·중·고교에는 2025년부터 적용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AI 교육을 정식과목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주요 교육내용으로는 프로그래밍, AI 기초원리, AI 활용, AI 윤리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2025년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기 전이라도 AI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내년부터 전국 초·중·고교에 AI 관련 수업자료를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초등학교 2종, 중학교 1종, 고등학교 1종의 보조 교육자료를 학교에 배포하는 등 AI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미리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고등학교에는 이보다 앞서 내년 2학기부터 진로 선택과목으로 ‘AI 기초’, ‘AI 수학’을 운영한다. 유치원에도 놀이를 통해 AI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AI 관련 학습자료를 개발한다.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해 정보·컴퓨터 관련 교직과목과 기본 이수과목에 AI 관련 내용이 반영하기로 했다. 또 교육대학원을 활용해 2025년까지 현직 교원 5000명을 대상으로 AI 융합교육 역량 강화 재교육을 추진한다. 해당 사업은 연간 1000여명의 교원을 5년간 재교육하며 국내 교육대학원 38곳에 석사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와 함께 교육대, 사범대 등 교원 양성기관 평가에 AI 교육역량 지원 여부를 평가요소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보·AI 영재 육성을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교육부는 내년부터 영재학교 2곳을 ‘AI 영재학교’로 지정해 AI 교육활동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일반고 가운데 ‘정보’ 교과를 필수과목으로 운영하는 ‘AI 융합교육 거점고교’를 지정해 AI·소프트웨어 교육을 3년간 26단위 이상 실시한다. 직업계고에는 AI전자과, 지능형농장과 등 융합학과 개설을 지원한다.
학교 현장에는 학습자 중심 환경 조성, 교육 취약계층 지원, 학생 안전, 학교 업무 효율화 등 공교육 질 개선에 필요한 AI 기술을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교육 현안 해결을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교육 3대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기술 개발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할 방침이다.
개발된 기술은 현재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노후학교 혁신사업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을 비롯해 에듀테크형 혁신학교 등 미래형 학교 모델에 시범 운영한 뒤 전국으로 확산, 운영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내년부터 교육계, 산업계, 노동계 등 관련 분야와 협업해 ‘AI 인재 양성 지표’를 개발해 교육 정책의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 분야 데이터 활용‧보완 등과 관련한 사회적 합의와 정책 발굴을 위한 의사결정기구로, 유은혜 부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교육빅데이터위원회’를 출범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학생, 학부모, 시도교육청,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