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바운드 인증 실효성 없어
– 국내 · 해외상품 마케팅 강화
– 우수여행사 지정제 통해 지원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여행상품 인증제가 올해부터 국내여행 및 해외여행 상품만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 실효성 논란이 있었던 인바운드 여행상품에 대한 인증은 올해부터 폐지됐다 . 대신 기존의 ‘ 외래객 유치 우수여행사 ’ 지정제도를 통해 인바운드 부문에 대한 지원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
우수여행상품 인증제를 주관하는 한국여행업협회 (KATA) 에 따르면 올해부터 국내여행과 해외여행 상품에 대해서만 인증제를 실시하고 인바운드 부문에 대해서는 실시하지 않는다 . 국내 및 해외여행 상품의 경우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홍보와 마케팅 , 이를 통한 판매촉진이 가능한 반면 인바운드 상품의 경우 해외 소비자가 대상이다 보니 직접적인 인증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반영한 결과다 . 한정된 예산으로 해외 소비자를 대상으로 홍보나 광고활동을 할 수 없다보니 그동안 인바운드 여행사들은 우수여행상품 인증의 직접적인 효과를 체감하지 못했다 . 자사의 상품이 한국 정부로부터 우수상품 인증을 받았다는 점을 내세워 해외 거래여행사를 대상으로 B2B 차원의 홍보를 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
KATA 관계자는 “ 인바운드 상품 인증에 대해서는 과거부터 실효성 논란이 제기됐다 ” 며 “ 실효성 없는 인증을 지속하기보다는 기존의 외래객 유치 우수여행사 제도와 연계해 진행하는 게 더 합리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내린 결정 ” 이라고 설명했다 . 또 “ 여행상품보다는 여행사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게 인바운드 여행사들의 의견 ” 이라고 덧붙였다 .
지난 7 일 열린 우수여행상품 인증제 설명회 참가자 대부분도 이 취지에 공감했다 . 국내 및 해외여행 우수상품에 대해서는 기존보다 마케팅 수위를 높일 수 있고 , 인바운드 여행사는 ‘ 외래객 유치 우수여행사 ’ 지정제도를 통해 보다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한 인바운드 여행사 관계자는 “ 해외홍보비 명목으로 100~200 만원 받는 게 전부인데 그마저도 해외 거래처가 해당상품을 광고하거나 홍보물을 만들 때만 가능해 제대로 받기도 어려웠다 ” 며 “ 인바운드 여행상품의 유통과정을 감안한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나오기를 바란다 ” 고 말했다 .
KATA 는 이번 변화에 맞춰 외래객 유치 우수여행사 지정제도와 우수여행상품 인증제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 ,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한편 KATA 는 이달 중순부터 2015 년 우수여행상품 인증신청 접수를 시작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