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랩, 음식이 품은 이야기의 향연 ‘식재료 이력서’ 출간

오이·쑥갓·가지… 소박한 음식의 위대한 내력 파헤치기

228

(미디어원=정인태기자) 고추, 오이, 가지 등 소박한 식재료들이 겉보기와 달리 화려한 이력을 지녔음을 밝혀내는 등 음식이 품은 이야기를 다채롭게 펼쳐낸 인문서가 출간됐다. 

북랩이 한국인이 즐겨 찾는 식재료의 정확한 내력을 추적하고 더하여 각 식재료에 담겨 있는 사연들, 인간에게 미치는 효과를 세밀하게 풀어낸 황천우의 ‘식재료 이력서’를 출간했다고 밝혔다. 

이 작품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고 자란, 주로 역사소설을 집필하는 소설가 겸 칼럼니스트 황천우와 경기도 포천시 소재 농업법인 회사인 (주)승화푸드의 만남서 비롯된다.

그곳에서 금속검출기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완제품을 냉장창고에 보관하는 일을 담당하는 황천우에게 식품은 단지 맛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손을 거쳐 가는, 한국인이 즐겨 찾는 식품들을 바라보며 인간과의 인연을 생각하고 나아가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해주었으면 하는 의도에서 지난해 중반부터 식재료들의 이면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선조들이 남긴 소중한 기록을 샅샅이 들추어내었고 더하여 현대의 기록까지 망라하여 그야말로 각 식재료들의 이력을 밝혀낸 작품이 바로 ‘식재료 이력서’다. 

예를 들어 임진란 때 왜(일본)로부터 전래되었다고 알려진 고추의 유래 이야기다.

조선조 문인이며 화가였던 김창업의 작품 ‘고추’는 ‘구이에서 왔지만 비루하지 않고 맛과 냄새 생강과 계피에 가깝네’라고 고추를 설명하고 있다. ‘

구이’는 동이(東夷, 동쪽 오랑캐)의 아홉 부족을 지칭하는데, 공자(B.C. 551~B.C. 479)가 혼탁한 세상을 피하여 살고 싶어 했던 곳으로, 글 전체 내용을 살피면 몽고와 근접한 지역을 암시하고 있다.

고추가 최초로 왜로부터 들어왔다는 정보가 오류였음을 알 수 있다. 

식재료의 이름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도 찾을 수 있다.

밴댕이 왜 ‘밴댕’이란 이름을 얻게 되었는가. 조선조 실학자인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우리나라 말에 소어(蘇魚)를 반당(盤當)이라 하니’라고 기록하고 있어 밴댕이는 ‘반당’에서 온 말로 추측할 수 있다.

박지원은 사신을 따라 중국으로 들어가는 사람 중 놀 생각으로 가는 이를 이와 같은 음의 ‘반당(伴當)’이라고 불렀다고 쓰고 있어 예나 지금이나 밴댕이가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진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저자는 서울시립대에서 영문학을, 서울과학기술대에서 문예창작을 전공했다.

정당 사무처 당직자로 13여년간 근무한 바 있으며 사단법인 한국미래산업연구소 사무처장과 사단법인 세계孝문화본부 홍보실장을 역임했다.

지금은 ㈜승화푸드 포장팀 사원으로 재직 중이며 시사주간지 ‘일요시사’에 매주 소설과 시사 칼럼을 연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