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조가 아름다운 교동도, 역사 문화 그리고 자연이 살아 있는 그 곳

530

대지를 온통 녹여 버릴 듯 뜨겁던 태양의 열기가 한풀 수그러지더니 어느 결엔가 상쾌한 바람이 맑고 높은 하늘 아래 대지를 감싸고 지나간다 .
다시 찾아오는 계절을 바다와 산이 있는 곳에서 만나 볼 요량으로 길을 나선다 .
백리 길을 쉬임없이 달리니 뭍길은 끊어지고 오랜 세월 섬과 섬을 이어 놓은 물길이 시작되는 창후리 선착장에 다다른다 .

교동도는 강화군의 작은 섬이다 . 갈매기 나르는 창후리 선착장에서 10 분 남짓 배를 타니 건너편 월선 포구에 도착한다 .
섬엔 역사와 문화 그리고 때 묻지 않은 자연이 있다고 하니 걸음을 바삐 놀리지 않을 수 없다 .
교동향교로 향하는 길은 주말 오후지만 한적하다 . 들판은 황금빛으로 가득하고 퇴락한 농가 곁의 텃밭엔 제대로 익은 고추가 농부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 가을볕은 나그네의 이마에 땀방울 가득하게 하지만 곡식과 과일을 여물게 하니 한없이 아름답기만 하다.

풍요로운 섬이다 . 길 곁으로 수수밭 콩밭 고구마 밭이 이어지고 밤나무 감나무가 빼곡하다 .

코스모스가 한껏 피어 있는 길을 한 시간 남짓 걸으니 교동향교와 화개산을 알리는 이정표가보인다 . 반갑다 . 주말 오후지만 한적한 나들이 길로 제대로 길을 가고 있는지 내심 걱정하던 중이었다 .

교동향교는 이정표에서 800 미터의 거리에 있다 . 우리나라 23 개 향교 중 가장 오래 된 교동향교는 고려 인종 5 년 (1127 년 ) 에 세워졌으며 충렬왕 12 년 (1286 년 ) 에 우리나라에 성리학을 도입한 유학 제거 안유선생이 원나라에서 공자와 10 철 (10 哲 ) 의 초상을 모신 유서 깊은 곳이다 . 본시 화개산 북쪽의 향교골에 위치하였으나 조선 영조 17 년 (1741) 년에 부사 조호신에 의해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고 한다 . 대성전에 봉안된 공자 안자 증자 자사자 맹자의 오성위와 종조 2 현 및 우리나라 18 현의 위패를 살펴보면서 매년 음력 8 월 첫 번째 정 ( 丁 ) 일에 열리는 석전대체를 가늠해 본다 .

화개산은 교동도의 주산이다 . 교동향교에서 화개산 정상을 향하는 길목엔 고려조의 대학자 목은 이색이 머물렀다는 화개사가 있다 . 꽤나 가파른 길 끝의 작고 조용한 절 화개사에서 차가운 물 한잔으로 갈증을 달래고 화개산 정상을 향한다 .

길엔 사람들이 다닌 흔적을 별로 볼 수 없고 낙엽으로 가득 덮혀 있다 . 세찬 바람으로 쓰러진나무들이 곳곳을 막아서고 급한 경사로 쉽지 않는 걸음이지만 사람의 발자취 없는 자연 그대로의 길을 걷는 모처럼의 행운에 감사할 따름이다 . 길은 점점 험해지고 깊은 숲은 음습해 보이기도 하지만 풀꽃 가득한 사잇길을 지나니 저만치 정상이 보인다 .

화개산 정상과 잇대어 있는 연봉 정상에는 봉수대가 있다 . 낮은 석단만이 남아 있는 화개산 봉수대는 , 가로 4.6m, 세로 7.2m 이고 잔존높이는 1.2m 이다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남쪽으로 본도의 덕산봉수에서 연락을 받아 동쪽으로 하음 봉천산 봉수로 응한다고 되어 있다 .

마침내 산 정상이다 . 높이는 259.6 미터에 불과하지만 주변에 높은 산이 없어 가히 군사적 요충지라 할만하다 . 북한의 연백평야가 한 눈에 들어오고 황해남도 연안군과 배천군이 지척이다 .

길은 여기서 그만이다 . 저 곳도 우리 땅이지만 물길 뭍길 모두 끊어져 있으니 사람이 있으되 길은 없다 . 안타까운 마음으로 바라보지만 이 길과 저 길이 만날 날은 아직 기약이 없다 . 교동도와 강화도의 연륙교 공사처럼 교동도의 황해남도에 큰 길을 놓는 그 날을 소망하며 하산 길에 오른다 .

산을 내려오면 멀지 않은 곳에 교동 읍이 있다 . 교동 읍은 작은 마을로 아직 옛 정취와 인심이 그대로 인 듯 바라보는 것으로도 정겹다 . 월선포로 다시 돌아가는 해안도로는 또 다른 아름다운 길이다 . 해는 이미 기울고 있고 바다 바람은 풀꽃과 갈대를 흔들고 있다 .

바다내음에 한껏 취한 채 월선포에 도착하니 작은 섬 교동도는 이미 가슴 속에 가득 자리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