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서울 꿈의숲은 강북시민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곳이다 . 강북을 문화의 장으로 바꿔 놓은 복합 문화공간 북서울 꿈의숲의 이모저모가 궁금하다 .
차별화된 복합 문화의 장
2009 년 10 월 강북구 번동에 북서울 꿈의숲이 개장했다 . 개장 초 미흡한 준비로 불편을 토로하는 시민도 많았지만 , 어느덧 강북구 여가 생활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했다 . 북서울 꿈의숲이 다른 서울숲과 차별화된 이유는 여타 공원에서 찾아볼 수 없는 아트센터의 운영 때문이다 .
아트센터 내에는 297 석 규모의 자연 채광이 가능한 콘서트홀과 283 석 규모의 퍼포먼스홀 , 드림갤러리 , 아동 전용 공간이 있는 북카페 ‘ 카페드림 ’ 이 마련돼 있다 .
아트센터 1 층 , 커피 향을 따라 들어간 카페드림은 아동 동반 방문객을 위한 키즈존이 있으며 서가에 빽빽이 꽂혀 있는 잡지와 서적들은 눈길을 끈다 . 키즈존의 벽면과 서가는 아이의 지능 발달을 위한 놀이기구로 꾸며져 ‘ 읽는 즐거움 ’ 을 더한다 . 직원들은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교육을 받고 있다 . 열심히 질문하고 메모하는 모습은 공공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다는 고정관념을 무너뜨린다 .
꿈의숲 아트센터는 강북구에 저렴하고 수준 높은 공연을 제공해 호평을 받고 있다 . 퍼포먼스홀과 콘서트홀에서는 뮤지컬이나 정상급 아티스트의 라이브를 만날 수 있다 .
또한 아트센터의 명소인 전망대는 드라마 아이리스의 촬영지로 일본인 관광객의 발길이 끓이지 않고 있으며 ,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방식으로 관광객이 줄서서 이용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
아쉬운 점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 외국어 안내 책자가 비치되어 있지만 가이드 등 안내원이 부족하다 . 한국을 여행하는 관광객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세심한 배려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
숲 ‘ 愛 ’ 서 가족과 함께
공원 내에는 등록문화재 제 40 호 창녕위궁재사와 양주조씨 묘역 등 전통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 곳도 있다 . 대나무 숲에 위치한 창녕위궁재사는 조선 순조의 2 녀 복온공주와 부마 김병주의 재사 ( 齋舍 ). 손자 김석진이 순국 자결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곳이기도 하다 . 남아있는 아궁이와 가마솥은 부모에게 추억을 아이들에게는 옛 선조들의 지혜와 생활상을 보여준다 . 양주조씨 묘역에는 양주조씨의 시조와 2 세조의 단이 있고 , 그 우측편에는 3 세조의 묘가 있다 . 또한 지방 무형문화제인 오패산 산신제도 그 전통이 꾸준히 행해지고 있다 .
북서울 꿈의숲은 강북구 번동 산 28-6 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 다양한 문화행사와 아트센터의 다채로운 공연 , 유아 전용공간 등 지금까지의 서울숲과는 차별화된 면모를 많이 가지고 있다 . 관람객을 위한 프로그램과 다수의 관램객이 몰릴 때의 대처 , 전시장 및 공연장의 전문 인력의 채용의 미흡함이 보이지만 차차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 향후에는 서울이 아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예술공원으로 발돋움하기를 기대해본다 . (매주 월요일 휴관)
가는 길
지하철 4 호선
미아 3 거리역 2 번 출구에서 강북 마을버스 5 번 이용 , 3 번 출구에서 지선버스 1124 번 이용
지하철 6 호선
들곶이역 3 번 출구에서 강북 마을버스 9 번 이용
문의 : 02-2289-5401 , http://www.dfa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