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스뉴스] 황금알을 낳는 MICE산업?, 유치실적 부풀리거나 경제유발효과 신뢰성 담보 못해

264

미래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MICE산업이 점점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MICE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와 기준조차 내리지 않은 상황에서 신성장동력 산업에 무리하게 포함시킨 부작용이라는 설명이다. MICE산업의 경제유발효과가 워낙 광범위하고 자의적으로 풀이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측정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적 올리기라는 명목으로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유치실적을 부풀리거나, 경제 유발효과를 확대 측정하고 있다. 업체에서 국제적인 행사를 유치하더라도 규모와 수익에 대한 자료는 자의적으로 해석되고 공개되는 경우도 있다.

# 제주도, 외자 유치실적으로 잡음
지난달 지방선거를 통해 민선 5기 도지사가 탄생한 제주도에서는 전임 도정과 후임 도정 사이에 외국인 투자유치와 기업유치 실태에 대한 잡음이 일고 있다. 우근민 제주도지사는 그 동안의 투자유치 실적이 지나치게 부풀려졌다고 진단하고 실질적인 외국인 투자 ,기업 유치를 위한 전략을 예고한 것이다.
민선5기 제주도지사직 인수위원회는 지난 5일 공개한 활동보고서를 통해 민선4기 도정의 외국 투자유치와 기업유치 실태에 대해 사실상 ‘낙제점’을 메겼다. 외자유치 실적 홍보가 실제보다 상당히 부풀려졌다는 것이다.
제주도가 밝힌 2008년 이후 투자유치 실적은 내?외국인 투자를 합쳐 5월말 현재 7조2381억 원에 달하지만 이는 실제 투자액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4기가 발표한 외국인 투자유치 실적은 6개 사업에 2조1791억 원에 달하지만 실제 투자액은 19%에 불과한 4139억 원이고 이 중 외국인 자본은 763억 원으로 나타났다. 실제 홍보 내용 중 상당수는 ‘페이퍼 투자’로 그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임 도정의 반론도 만만찮다. 2015년까지 연차적 투자계획의 일환으로 볼 때 정상적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인수위원회에서 거론한 6개 사업 중 가장 덩치가 큰 예래휴양단지 조성사업에 1200억 원 실제 투자되고 연차별 투자계획에 따라 지극히 정상적으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같은 사안을 두고 다른 목소리가 나는 것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바뀔 때마다 일어나는 일이지만, 외국인 유치실적이 MICE산업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볼 때 양측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기준과 산정방식의 개선이 우선 필요하다.

# 국내 MICE산업 경제효과 판단기준 미흡
MICE산업의 부가가치가 높다는 근거를 이유로 미국, 싱가포르, 홍콩, 등의 국가 등은 MICE 산업 경제효과를 꾸준히 측정하거나 평가하고 있으며 이를 MICE산업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자료의 구체적인 조사방법을 살펴보면 조사범위에 대한 기준이 명확히 하지 않거나 임의 추정한 경우가 많아 신뢰성을 제대로 확보했다고 보기 힘들다.
현 국내에 존재하는 11개 컨벤션 센터에서 산정하는 경제유발효과는 물론 시장 인프라나 개최 행사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이유로 개별적인 단체나 행사가 유발하는 경제효과는 정확한 기준 없이 경쟁적으로 부풀려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제주ICC가 조사한 회의 개최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2007년 절반으로 줄어든 이유는 유발 효과 산정 공식의 변화 때문이다.
국내 MICE산업의 경제효과가 신뢰성을 갖춘 데이터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현행 조사방법 상의 문제를 개선해 UNWTO(세계관광기구)가 권고하는 ‘MICE산업 경제효과 측정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수요부문과 공급부문을 모두 반영하고, 체계적인 자료수집 및 분석을 통해 국내 MICE산업의 실태를 충분히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그들만의 자료로 악용될 수도
한국관광공사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에서는 국내 MICE업체가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화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이 외에도 MICE산업을 유치하는 컨벤션 센터나 지역별 컨벤션 뷰로를 통해서도 관련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MICE 산업이 곧 신성장동력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웹사이트 관리는 의아함 투성이다.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는 개인 정보와 더불어 소속 단체의 정보를 입력해야 하고, 승인과정까지 거쳐야 한다. 물론 사기업이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통계자료이다 보니 얼마간 자료에 대한 보안이 필요하다고 전제하더라도 학계와 일반인, 언론에서 취급하는 정보를 통제함으로 인해 불편을 야기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