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와 보고 듣는 것
사람이 태어나면서 기본적인 성향과 머리가 조금은 다르게 태어나기도 한다. 그런데 같은 머리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그 사람이 어떠한 것에 관심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서 발달하는 영역은 판이하게 다르다.
어떤 아이는 듣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사람들은 들은 것을 잘 전달을 하는 부류로서 말을 배우는 것도 빠르고 어릴 때 깜찍할 정도로 말을 잘하고 애 늙은이라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이런 아이들은 누가 이야기를 하면 그대로 전달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보니까 언어능력이 탁월한 경우가 많다. 그러니 당연히 외국어도 잘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아이들에게는 듣는 교육이 맞게 되는데 현재 우리나라 교육의 실정에 가장 적합하고 잘 적응을 하는 부류인 것이다. 학원에서 공부하고 과외를 받아서 배운 것을 그대로 옮기는 능력이 좋은 아이로서 이런 아이들이 내신점수도 잘 받게 되어 대학진학을 잘 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듣는 것보다는 보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이런 부류는 학원 수업을 듣고 과외를 받아도 집중이 덜되고 본인이 다시 읽어서 본인이 본 것이 머리에 남는 것으로 혼자 공부하는 것을 좋아하는 타입들이다. 그러다 보니 다른 사람의 말을 듣기보다는 혼자 개인행동을 하기를 잘 한다. 그래서 학교생활에서도 눈에 벗어나서 엉뚱한 일을 벌이기도 잘하고 말썽을 잘 일으키는 부류이다.
이처럼 보는 것을 좋아하는 부류는 책을 주로 옆에 끼고 다니면서 읽고 또 읽으며 독서량이 많게 되고 상당히 융통성이 뛰어나서 오히려 사회에 나와서는 깊이 있는 학문이나 연구도 잘하게 되고 이러한 사람들에 의해서 사회가 한 단계씩 성숙해 나가는 것이다.
반면 듣기를 좋아하는 부류는 듣고 말하기를 좋아하다보니 학교에서 다른 학생들과 잘 어울리고 단체생활을 무난히 잘 해나간다. 이런 아이들이 우리나리에서는 훨씬 대우받다 보니까 교육도 그쪽으로 치우쳐가는 것 같다. 그러나 외국의 교육을 보면 물론 사회적인 형상이 다른 것이겠지만 이와는 반대의 교육이 훨씬 우대 받는 경우가 많은데 말입니다.
공부하는 장소도 차이가 있는데 어떤 아이는 학교 수업을 하더라도 밝은 빛이 들어오는 창가에 앉아야 공부가 잘되는 학생이 있고 창가에서는 집중이 안 되고 어수선하고 뭔가 안정이 안 되어 안쪽에서 수업을 들어야만 머리에 잘 들어오는 타입이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앞에서 수업받기를 좋아하는 경우가 있고 적당히 뒤로 가야 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학생이 공부하는 장소도 중요하고 어떠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어떻게 공부를 하는 것은 더 중요하다. 듣기를 잘하는 아이는 한번이라도 더 듣도록 기회를 많이 노출시켜야겠지만 그런지 않고 혼자 책을 통해서 보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은 수업을 많이 듣는 것보다는 적당한 장소와 책을 볼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또한 듣기를 잘하는 경우는 있는 그대로를 잘 받아들이고 똑같이 따라하게 된다. 비슷하게 따라하다 보니까 모방의 귀재들이다. 그러니 작가를 한다고 해도 본인 스스로 창작하는 능력보다는 다른 나라에서 히트를 한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재 각색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이다. 그리고 반복학습을 잘하는 부류로서 같은 강의를 계속 듣게 되고 같은 영화도 반복해서 보는 것을 잘하다 보니까 언어 습득 능력이 더욱 뛰어난 것이다.
그에 비하면 눈을 주로 쓰는 아이는 뭐든지 본인이 눈으로 확인하고 맞는 것이라고 인식이 되어야만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니 같은 것을 읽더라도 세밀히 분석하고 비판을 하는 능력이 뛰어 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성향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이 성장하는 동안에 계속 한 가지 성향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듣는 것이 더 좋아하다가도 어느 순간이 되면 눈으로 보는 것을 좋아하는 때도 있는 것이다. 때로는 둘 다 좋아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단지 가장 중요한 중 고등학교시절에 어떠한 성향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향후 어떠한 계통으로 나아갈지가 많이 결정이 되기 때문에 이시기에 문과 성향이든지 이과성향이 가지는 의미가 중요한 것이다.
결국 각자의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남들이 학원의 강의를 듣고 과외를 하는 것을 그대로 따라한다고 해서 잘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개개인이 좋아하는 방법과 장소에서 열심히 하는 것이 당장은 효과가 떨어질지는 모르지만 나중에는 그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글 한수 철학연구소 소장 한석수. 구전으로 내려오는 사주명리학전수자.
한수작명연구소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