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혼재하는 말레이시아는 그만큼 엄청난 수의 문화행사가 열린다 . 말레이 반도는 서 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 말레이시아로 나뉜다 . 이슬람 색채가 강한 말레이 반도와 달리 동 말레이시아의 사바 주와 사라와크주는 일반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탓에 전통을 고수하는 원주민의 생활상을 그대로 엿볼 수 있다 .
그중에서 사라와크는 흔히 ‘ 보르네오의 숨은 보석 ’ 으로 지칭하는데 , 크고 아름다운 경관에 비해 유명세를 피한 탓이다 . 사라와크의 볼거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오늘 소개할 다양한 원시 부족과 세계자연유산인 구눙물루국립공원이 그것이다 .
미인은 원시부족도 춤추게 한다 – 타다우 카마탄 축제
사바 지역에서 개최되는 카마탄 페스티벌은 매년 5 월에 개최하는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추수 감사 축제이다 . 카마탄 축제는 보보히잔이라고 불리는 주술사들이 전통 의상을 차려 입고 주술을 외우면서 일렬로 줄지어 걸어가는 마가야우의식을 치르는 것으로 시작되며 , 축제에 대한 부족들의 애착과 열기를 느낄 수 있다 .
카마탄 페스티벌의 유래는 그 해의 풍년을 벼의 정령에게 감사드리는 의식으로 사바 지역을 다스리는 신과 그의 딸의 아름다운 전설에서 시작되었는데 , 오랫동안 흉작으로 굶어 죽어가던 사람들을 보고 고민하던 사바 지역의 신이 딸을 희생시켜 그녀의 몸 안에서 나온 벼 싹으로 이 지역 사람들을 굶주림에서 구했다고 한다 .
이 전설은 시간이 지나면서 전통으로 뿌리내렸고 매년마다 사바 지역의 가장 커다란 부족인 카다잔 두순족은 풍년을 축복하며 미인 대회를 열어 외모뿐만 아니라 용감함 , 기품 그리고 지적인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는 미인을 선정한다 .
특히 카마탄 페스티벌은 추수한 곡식에 대해 신에게 감사하는 의미로 치르는 행사이니만큼 축제의 모든 음식은 쌀로 만들어진다 . 축제에서 가장 귀빈 대접을 받는 것은 그 해 수확한 쌀로 만들어진 타이파이라는 술로 지역 사람들은 이웃과 손님들에게 타이파이를 대접하며 축제를 즐긴다 .
보르네오 원주민의 전통 가옥 체험 – 가와이 다약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넓은 사라와크주는 보르네오섬의 남서부에 자리하고 있다 . 거대한 원시 열대림과 산 , 동굴 , 독특한 생물원으로 부족문화의 땅이라 불린다 . 이곳의 토착부족민들은 전통 가내 공업과 농업활동을 영위하며 그 생산물로 기념품을 만들어 관광객에게 판다 .
사라왁 지역의 토착 원주민인 이반 , 비다유 , 카얀 , 큰야 , 클라빗 , 무룻 등을 통틀어 다약이라 부른다 . 따라서 ‘ 가와이 다약 ’ 이란 ‘ 다약들의 축제 ’ 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
가와이 다약은 원래 추수가 무사히 끝났음을 선포하고 신께 감사하는 추수감사 의식이었다 . 그러던 것이 이제는 이들은 가와이 다약으로 수확기를 마감하며 이웃과 친지들을 방문해 더 좋은 음식을 나누고 , 춤과 전통행사를 즐기는 축제로 변모한 것이다 .
보통 6 월 초에 시작하는 가와이 다약은 행사 며칠 전부터 부족민들을 들뜨게 한다 . 주로 이반 족의 롱하우스에서는 ‘ 무아이 안투 루아 ’ 라는 의식을 치르는데 우리의 액땜과도 비슷한 이 의식은 쓸모없는 물건들을 불운의 신에게 선물하는 의미로 모아서 롱하우스의 바깥에 내버린다 .
이외에도 수평아리를 제물로 바치며 풍작의 신께 감사드리는 ‘ 미링 ’ 이라는 의식과 수탉싸움 , 취관 시범경기 , 전통무용인 ‘ 가잣 ’ 경연대회 등이 마련된다 .
이 축제의 주인공인 사라왁 지역의 다약 사람들은 행사가 있기 몇 일 전부터 여자들은 전통음식을 한 가득 준비하고 , 그들 조상의 묘지를 깨끗이 한다 . 축제 전날에는 가족들이 모두 모여 뚜악이라는 전통 술을 손님들에게 베풀고 춤을 춘다 .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은 춤을 추고 음식을 나누어 먹으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 축복의 기간이니만큼 많은 커플들이 결혼이나 미래를 약속하는 등 축제 기간 동안 기쁜 행사들이 끊이지 않는다 . 축제 기간에 사라왁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지역 전통 주택인 롱하우스를 직접 방문해 즐길 수 있는 오픈 하우스 행사에도 참여할 수 있다 .
사라왁 사람들은 가와이 다약 축제가 신이 직접 사람들에게 시킨 행사라고 믿기 때문에 행사에 참가하거나 잠깐이라도 지나친 사람에겐 신의 축복이 함께 한다고 믿는다 . 따라서 매 해 각국에서 온 해외 방문객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 전 지역에서 수많은 인파가 몰려 인산인해를 이룬다 .
원시 부족은 다마이해변에서 걸어 5 분 거리의 사라와크 민속촌에서 만날 수 있는데 , 민속촌에는 비다유족 , 이반족 , 페난족 , 오랑울루족 , 멜라나우족 , 말레이족 , 중국계 등 7 개 부족이 여전히 각자 자신의 생활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
동남아 최고봉인 말레이시아 키나발루 산이 자리한 사바 주는 사라와크 주 다음으로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다 . 사바주의 주도는 코타키나발루인데 , 이곳은 천혜의 자연 경관과 자연재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 그로 인해 원시부터 계속 보존돼 왔을 것으로 짐작되는 해변과 밀림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
매년 이 두 지역에서 벌어지는 화려한 축제는 말레이시아를 방문한 해외 관광객들이 꼭 찾아 볼만한 장관으로 자리 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