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엔엘뉴스=김남지기자) 성인 아토피 환자가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9세까지의 영·유아 환자들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반면, 성인 아토피 환자들의 수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의 아토피 환자들은 2002년도 34,000명에서 2008년 56,000명으로 무려 65%나 급증했다. 60대 이상 환자들의 비율도 2002년 3.1%에서 2008년 4.9%로 크게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 현상은 20대 이상 성인 전 연령층에서 대부분 비슷하게 나타난다.
성인 아토피는 소아 아토피와 달리 저절로 치료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따라서 적극적인 치료 자세가 요구된다. 성인 아토피는 치료 기간도 길 뿐만 아니라 식습관을 비롯한 생활습관도 바꿔야 하기 때문에 치료가 까다로운 편이다. 또한, 성인 아토피는 피부만의 문제가 아니므로 더욱 치료를 서둘러야 한다.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겉으로 드러나면서 자신을을 잃고, 대인기피증이나 우울증을 토로하는 경우도 많다.
한의원 관계자에 따르면, 한방에서는 피부와 폐를 같은 계통으로 인식하여 치료한다고 한다. 이는 인체의 건강을 지켜주는 핵심적인 기운인 ‘원기(元氣)’가 폐에서 비롯된다는 한의학의 원리에서 나온 것으로, 폐를 건강하게 하여 피부 호흡과 노폐물 배출 능력을 높여준다는 이론이다.
스트레스나 정신적 긴장은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주된 요인이므로, 정신적, 육체적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도움이 된다. 과중한 스트레스나 감정적 격변은 아토피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기 때문에 항상 평상심을 같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온도와 습도를 항상 적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가능하면 면으로 만든 옷을 입고, 집안 환경을 쾌적하게 관리하는 것이 좋다. 과식, 폭식, 야식 습관을 줄이고 유산소 운동과 반신욕, 사우나와 찜질방 등에서의 발한으로 노폐물을 내보내는 과정도 요구된다.
식습관도 매우 중요하다. 가공 처리되고 식품 첨가물이 많이 들어간 인스턴트식품은 가려움증을 악화시키고, 커피나 콜라와 같이 카페인이 함유된 식품 역시 아토피에는 치명적이다. 종류에 상관없이 버터, 마가린, 프림 등 지방이 많은 고칼로리 식품도 좋지 않다. 대신 요오드와 미네랄이 풍부한 미역과 다시마는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고 피부를 윤택하게 해준다.
채소와 과일을 꾸준히 섭취하면 치료에 도움이 된다. 특히 당근에는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E, 카로틴 등이 들어있어 활성산소의 활동을 막아 독소를 제거해주고 혈관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특히 비타민C는 항염증 작용과 항산화 작용이 탁월하여 아토피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보통 하루에 2g정도의 비타민C 섭취를 권하는데, 파슬리와 브로콜리, 당근, 양배추, 딸기 등 각종 채소와 과일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
<김남지기자 [email protected]>
코스모스팜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