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현직 각료들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가 이어지는 가운데 동북아 국가들은 우려와 비난을 쏟아냈다.
18일 아사히 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지난 17일 신사참배에 나섰던 아베 신조 자민당 총리에 이어 하타 유이치로(45) 국토교토통상과 시모지 미키오(51) 우정민영화 담당상이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또 참배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2009년 출범한 민주당 정권에 의해 국제정서를 고려하자는 취지로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금지됐었다.
그러나 이날 하타 국토교통상은 “사적인 참배인 만큼 외교에 영향이 없기를 바란다”고 말하며 각료로서의 참배가 아님을 강조했다. 또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사적인 참배는 종교의 자유에 해당돼 정부가 관여할 문제가 아니다”고 말해, 사실상 신사참배가 용인돼 버린 것이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직후인 지난 8월 15일 일본2차 대전 패전일에도 하타 국토교통상은 마쓰바라 진(松原仁) 국가공안위원장과 함께 신사참배를 강행, 극우세력의 결집을 동요시켰다.
이날 야스쿠니를 집단 참배한 의원 67명 중엔 ‘일·한 의원연맹’ 회장을 지낸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총리도 포함됐다.
이에 한국과 중국은 일제히 우려를 표시했다.
한국의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현직 각료를 포함해 일본의 책임 있는 정치인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과거 일본 제국주의 피해를 본 이웃 국가 국민의 감정을 배려하지 않은 무책임한 행위로 극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洪磊) 대변인도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 군국주의가 저지른 침략전쟁의 정신적 기둥”라며 “일본은 역사를 직시하라”고 주장했다. 또 “일본은 책임 있는 태도로 국제사회를 대해야 하며, 이웃 국가들과 어떻게 공존할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여 경고했다.
중국 인민일보는 이번 야스쿠니 참배를 두고 ‘사악한 참배’라며 거세게 반발했고, 일본 언론내에서도 아베 총리의 ‘신사 참배 공약’에 대한 ‘선점 효과’라고 표현, ‘극우화’를 정치적 수단으로 내세워 보수 세력의 결집을 위한 움직임이라고 해석했다.
한편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주변국들이나 피해자들의 정서를 무시한 처사”라는 비난과 “인면수심의 정치 행보”라며 분노했다.
코스모스팜 소셜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