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 국립환경과학원 ) 는 22 일 산모 ⋅ 영유아의 환경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조사 결과 , 산모의 체내 유해물질농도와 모유수유 여부에 따라 아이의 체중과 신경인지발달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 산모의 생활습관과 모유수유 여부가 아이의 성장과 인지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이번 조사는 2006 년부터 2012 년까지 6 년 동안 우리나라 산모 총 1,700 여명과 출생 영 ․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모의 체내 납 및 수은 농도와 영 · 유아 성장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 혈중 납 농도가 평균 (1.3 ㎍ /dL) 보다 높은 산모에서 태어난 아이는 만 2 세가 됐을 때 체중이 남아는 177g, 여아는 204g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
납은 주로 신경계에 영향을 주고 특히 어린이의 신체와 신경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며 , 국내 여성 (239 세 ) 의 혈중 납 농도는 1.21 ㎍ /dL 로 미국 0.64 ㎍ /dL, 캐나다 ** 0.89 ㎍ /dL 에 비해 높으나 , 독일 3.07 ㎍ /dL 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
납은 임신부가 나트륨을 소금기준 9g 이하 ( 티스푼 2 개 분량 ) 로 보통보다 적게 먹으면서 칼슘을 우유 200 ㎖ 3 개 이상 정도로 많이 섭취한 경우 , 납 농도가 약 1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 수은은 제대혈의 수은 농도가 1 ㎍ /L 증가할 때마다 만 2 세 유아의 체중이 360g 줄었으며 , 임신 말기의 수은 농도도 1 ㎍ /L 증가할 때마다 체중이 186g 주는 등 아이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산모의 유해물질농도와 6 개월 영아의 신경인지발달을 분석한 결과로는 산모의 임신말기 혈중 카드뮴 농도가 1.5 ㎍ /L( 조사 대상산모의 중앙값 ) 이상일 경우 , 납 농도가 1 ㎍ /dL 높아질 때마다 인지반응 점수는 3.20 점 , 행동반응 점수는 2.86 점 낮아졌다 .
프탈레이트는 산모의 요중 농도가 높을수록 6 개월 남아의 인지반응 점수가 1.46 ∼ 1.57 점 , 행동반응 점수는 2.05 ∼ 2.36 점 낮아졌으나 , 여아의 경우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 모유수유에 따른 영 · 유아 건강영향 분석 결과 , 12 개월까지 모유만 먹고 자란 영아의 인지점수는 103.8 점으로 , 12 개월 영아 전체의 인지점수 평균 101.2 점에 비해 2.6 점 , 조제분유만 먹고 자란 아이의 평균 97.1 점보다는 6.7 점 높게 나타났다 .
아울러 만 3 세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을 분석한 결과 , 생후 6 개월까지 총 칼로리의 80% 이상을 모유로 섭취한 아이는 80% 미만을 모유로 섭취한 아이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률이 51% 나 낮게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산모의 중금속 노출정도 및 모유 수유와 영 ․ 유아 성장간의 관련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 추후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환경부 관계자는 “ 임신을 준비 중인 예비 산모나 임산부는 중금속 , 유해물질의 노출을 줄일 수 있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고 모유를 수유하는 것이 영 · 유아의 성장과 인지발달에 도움이 되고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을 낮출 수 있다 ” 고 밝혔다 .
이어 “ 임신 중에는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고 충분한 엽산과 칼슘을 섭취하는 한편 , 소금을 적게 먹는 등 건강한 식습관을 갖는 것이 좋으며 뜨거운 음식을 플라스틱 용기에 담거나 훼손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 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