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권호준 기자] ]인슐린의 부적절한 조절은 당뇨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인슐린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관여하는 새로운 조절인자가 제시되었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이은경 교수는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노화연구소 김욱 교수 , 하버드 의과대학 등과 공동연구 후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RNA 결합단백질인 HuD 의 발현 여부에 따라 인슐린의 분비가 증감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당뇨를 비롯한 췌장 관련 질환에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
당뇨병은 인슐린의 작용 부족이나 비정상적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췌장 관련 질환으로서 , 당뇨병성 망막 , 신부전 , 당뇨족 등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는 등 삶에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현대에서 가장 중요한 만성 질환으로 꼽힌다 .
특히 서구화된 식습관 탓에 2006 년에서 2010 년까지 매년 5.5% 의 환자 증가율 (5 년 전체 증가율 23.9%) 을 보이는 등 환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
췌장의 베타세포와 HuD 발현이 변화된 생쥐모델 연구에서 ,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HuD 가 결손된 생쥐의 경우 인슐린 발현량이 증가하고 HuD 가 과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에서 인슐린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합성의 새로운 분자적 조절 기전을 밝힌 것으로서 , 이 기전은 HuD 가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의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리보핵산 ( 인슐린 mRNA) 에 결합된 상태에서 포도당 자극에 의해 해리될 경우 인슐린 합성을 증가시키는 과정으로 이뤄진다 .
포도당이 췌장 베타세포에 자극을 줘서 인슐린이 생성되는 기전은 이미 오래전 규명되어 당뇨병 연구에 활용되어 왔다 . 하지만 췌장 베타세포 내에서 인슐린 생합성에 대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었는데 이은경 교수가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 규명해낸 것이다 .
이은경 교수는 “ 이번 연구를 통해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HuD 의 기능이 처음으로 규명되었다 ” 면서 “HuD 단백질이 당뇨를 비롯해 췌장과 관련된 질환에 대해 새로운 치료 표적 및 제어인자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둔 것 ” 이라고 평가했다 .
또한 HuD 는 주로 뇌에서 발현해 신경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뇌가 아닌 다른 조직에서도 조절자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도 최초로 밝혀졌다 .
이번 논문은 세계적 학술지 Cell 의 자매지인 Molecular Cell(I.F. 14.447) 3 월호에 게재되었으며 이은경 교수는 국내 최고의 바이오 관련 연구정보 제공센터인 BRIC 에서 ‘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 에 선정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