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과 인접 경기지역의 병무행정 담당할 ‘인천지방병무지청’ 설립

(미디어원=김인철 기자) 인천과 인접 경기지역의 병무행정을 담당할 ‘인천지방병무지청’이 48 년간의 숙원 끝에 설립된다 .

지난 12 월 3 일 내년도 정부 예산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면서 유정복 시장이 강력히 추진해 온 ‘인천지방병무지청’ 설립이 최종 확정된 것이다 .

계획대로 내년에 개청이 이루어지게 되면 , 1968 년 7 월 ‘경기도병무청’이 수원으로 청사를 옮긴 이후 무려 반세기만에 인천 내에 병무지청급이 들어서는 역사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

그동안 인천시민들은 병역의무자의 국외여행 허가 등 병무행정을 위해 수원에 위치한 인천·경기지방병무청을 직접 방문해야만 했다 . 이렇게 병무행정을 위해 수원까지 방문한 인천시민만 2013 년 기준으로 8 만 7,965 건에 달하는 등 그 불편이 상당히 컸다 .
2 시간 이상 이동의 불편 뿐만 아니라 , 인천광역시와 인천시민의 자존심도 그동안 큰 문제였다 . 현재 특·광역시 중 부산과 인접한 울산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방병무청이 자리해 지역주민들의 원활한 병무행정을 처리하는데 비해 , 인천의 경우 1994 년 징병검사장만 설치되었을 뿐 , 이후 지방병무청 신설은 요원한 일로만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

유정복 시장은 6.4 지방선거 직후 이를 반드시 개선해야할 부분으로 판단해 취임 후 부터 인천지방병무지청으로의 격상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 안전행정부 및 기획재정부 , 국회 등에 조직 격상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건의해 나가고 , 조직개편안 확정에 수반되는 예산까지 반영시키며 최종적으로 ‘인천지방병무지청’ 신설을 이루어냈다 .

시는 유정복 시장의 취임 1 주년에 맞춰 내년 7 월 1 일 인천지방병무지청이 개청할 수 있도록 병무청에 적극 협조한다는 계획이다 .

유정복 시장은 “병무행정서비스를 받기 위한 인천시민들의 불편은 그동안 너무도 컸다”며 , “이번 인천지방병무지청 설립처럼 시민중심의 시정실현에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