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원 =구윤정 기자 ) 최근 발생한 네팔대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눈더미처럼 불어나는 가운데 , 네팔에서 관광중이던 한국 관광객에 대한 외교부의 소극적 대응이 질타를 받고 있다 .
두 딸과 조카를 데리고 네팔 히말라야를 걸어서 내려온 전승완씨는 5 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대사관의 소극적 대응 태도를 꼬집었다 . 전씨는 “ 카트만두로 돌아와 대사관에 전화해 보니 히말라야에 들어간 한국인이 누군지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 고 했다 .
네팔 당국은 히말라야 등산객의 여권을 일일이 확인 · 복사한 뒤 40 달러 정도를 받고 확인서를 내준다 . 한국대사관이 네팔 정부와 공조해 한국인 등산객 명단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지 않느냐는 게 전씨의 생각이다 . 그와 통화한 대사관 직원은 “ 네팔 정부에서 안 준다 ” 고 말했다고 한다 . 전씨는 “ 대사관이 연락해오는 사람만 확인한다면 무슨 의미가 있느냐 . 트레킹 코스인 랑탕처럼 등산객이 많은 쪽으로 셔틀 차량을 준비해준다든지 했어야 했다 ” 고 대사관의 안일한 대응을 지적했다 .
전씨는 “3 일 카트만두 공항에서 방콕으로 나올 때 보니 대사관 직원들이 태극기를 걸어놓고 앉아 있는데 거기에 왜 있는지 모르겠더라 . 외교부나 대사관의 태도를 보면 각자 재주껏 해결하고 , 그러다 안 좋은 일이 생기면 어쩔 수 없다는 식 같았다 ” 고 했다 .
외교부 당국자는 “ 아직 한국인 실종자는 없는 것으로 안다 ” 면서 “ 외국 원정대 소속이거나 단독 여행객일 경우 확인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고 설명했다 .
한편 여행사들이 지진 때문에 귀국 일정을 당긴 사람들에게 평소보다 비싼 수수료를 받아 챙긴다는 지적도 나왔다 . 전씨는 출국 날짜를 바꾸면서 가족 1 인당 3 만원씩 추가 수수료를 내야 했다 . 그는 “ 위급해서 빨리 나와야 하는 사람들에게 턱없는 수수료를 내라고 하면 안 되지 않느냐 ” 고 말했다 .
다행히 아직까지 이번 대지진으로 인한 한국인의 인명피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 앞으로 해외에서 발생하는 사건 , 사고에 대한 외교당국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체계 확립이 시급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