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원 = 김인철 기자 ) 불황의 장기화 속에 캠핑족의 캠핑 문화도 바뀌고 있다 . 멀리 떨어진 산과 바다를 찾는 원거리 캠핑 대신 대도시 근교 캠핑장 등에서 즐기는 ‘ 도심형 캠핑족 ‘ 이 증가한 것이다 .
이들은 텐트와 침낭 등 최소한의 장비만 이용하는 미니멀 캠핑을 즐기기 때문에 편리하고 가벼운 제품을 주로 찾는다 .
3 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캠핑 인구는 300 만 명에 이르고 , 전국 캠핑장도 500 곳에 육박할 정도로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
이에 발맞춰 아웃도어 · 캠핑 업계도 부피가 크고 무거운 대형텐트나 장비 대신 당일치기로 부담 없이 캠핑을 즐길 수 있는 도심형 캠핑 장비를 선보이고 있다 .
K2 는 백패커들을 위해 유선형 구조로 바람 저항을 최소화한 2 인용 텐트 ‘ 비 – 글라이더듀오 ‘ 를 출시했다 .
마운티아 역시 1~2 인용 텐트 제품군을 강화했다 . 지난해 완판을 기록한 ‘ 프리덤 1~2 인용 텐트 ‘ 는 올해 아틀라스 텐트로 라인업을 확대했다 .
마모트도 본격적인 아웃도어 시즌을 맞아 ‘ 백패킹 라이트 라인 ‘ 을 선보였다 . 1 인용 경량텐트인 이오스 , 2 인용 텅스텐 등으로 구성해 경량성과 내구성 , 등급대비 넓은 내부 공간을 자랑한다 .
당일치기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용품도 특수를 누리고 있다 .
아이스타일 24 에 따르면 피크닉매트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했고 피크닉용 도시락통은 60% 늘었다 . 나무 , 기둥 등에 설치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해먹 역시 판매량이 43%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
업계 관계자는 " 지속적인 경기 불황에 캠핑장 법규 강화까지 맞물리면서 도심 속에서 가볍게 기분을 낼 수 있는 피크닉 스타일의 당일치기 캠핑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 며 " 한강이나 도심 속 공원의 경우 그늘막 형태의 텐트만 칠 수 있는 곳이 많아 활용도가 높은 소형텐트의 판매량이 늘어날 것 " 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