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원 = 권호준 기자 ) 인천공항 제 2 여객터미널 입주를 선점하기 위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경쟁이 치열하다 . 인천공항공사가 2 조 2000 원을 투입한 제 2 여객터미널 ( 연면적 38 만 4000 ㎡ ) 은 2017 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
7 일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제 2 여객터미널에 입주할 항공사를 비공개로 선정할 경우 특혜 논란이 불거질 수 있어 공개 평가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운영계획서를 접수받아 오는 7 월까지 평가할 방침이다 . 항공사 재배치를 위해 TF 팀을 구성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
현재 제 1 여객터미널은 이미 연간 이용객이 4500 만명을 넘어서 포화상태에 다다랐다 . 이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현재 동 · 서측으로 나누어 이용하고 있다 . 탑승동은 1400 만명이 이용하는 외국항공사들이 사용한다 .
인천공항공사는 여객 1800 만명 · 화물 130 만 t 을 수용하는 제 2 여객터미널을 2018 년부터 운영해 총 수용량을 6200 만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
두 항공사는 제 2 여객터미널 입주를 위한 각자 나름의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 대한항공은 환승이 편리한 전용터미널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 아시아나항공은 항공동맹체에 소속된 항공사와 함께 허브터미널화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
대한항공은 우선 1800 만명 규모의 전용터미널로 활용해 인천공항의 하늘 길을 확대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41 개국 117 개 도시에 취항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항공사로 연간 이용객이 1430 만 5 명에 달해 무리가 없다는 주장이다 .
또 현재 인천공항 환승객 70% 이상이 대한항공의 승객이고 , 이중 98% 에 달하는 승객이 대한항공을 이용한다는 점을 활용해 전용터미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아시아나항공은 스타얼라이언스 항공동맹체에 소속된 항공사와 함께 입주할 계획이다 . 지난해 연간 이용객은 1100 만명으로 전용터미널 활용에는 다소 부족한 상황이지만 루프트한자 , 유나이티드 , 싱가폴 , ANA 등 스타얼라이언스 소속 12 개 항공사의 연간 이용객은 1500 만명 수준으로 대한항공과 비슷하다 .
한편 , 인천공항공사는 당초 제 2 여객터미널에 입주할 항공사를 지난 2012 년 선정할 계획이었다 . 입주자가 원하는 설계 ( 고객주문서비스 Customized Service) 를 반영하는 방침을 세웠으나 양사간 과열 경쟁으로 3 년 뒤로 미뤄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