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모든길은 인천으로 통한다’ 교통주권 발표

인천시 , ‘ 모든길은 인천으로 통한다 ’ 교통주권 발표
민선 6 기 후반기 핵심과제 중 교통주권이 시작되다

인천광역시 ( 시장 유정복 ) 가 30 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오피니언 리더 등 교통관련 정책수요자와 시민 , 기자를 대상으로 교통주권 설명회를 개최하면서 민선 6 기 후반기 인천시 핵심과제중 하나인 “ 교통주권 – 모든길은 인천으로 통한다 ” 를 발표했다 .

유정복시장은 “ 인천 중심의 교통망 구축을 위한 첫걸음으로 인천발 KTX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고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고시되었다 . 또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도 국토교통부와 이관 협약을 체결하는 등 교통분야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다고 설명하며 앞으로 2 년은 시민행복 더하기 인천 교통주권 시대를 여는데 더욱 매진하겠다 “ 고 밝혔다 .

교통주권에 대해 유시장은 “ 다른 광역시도는 지역 교통의 중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데 비하여 인천시는 인구 300 만의 국내 3 대 도시임에도 수도권의 다핵도시 중 하나로 취급 받아온 것이 사실이었다면서 , 대한민국 최고의 공항과 항만을 가지고 있는 도시의 위상에 걸맞게 향후 하늘길 , 바닷길 , 도로길 등 모든길은 인천으로 통하도록 하겠다 ” 고 말했다 .

이날 교통주권 사업은 3 개 실현계획에 14 개 세부사업으로 발표하였다 . 첫 번째로 제시된 실현계획은 “ 전국을 바로 연결합니다 ” 이다 . 1899 년 9 월 18 일 최초의 철도가 운행된 최초의 도시에서 세계 두 번째로 상용화된 자기부상철도를 가지고 있는 최고의 철도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

전국을 2 시간대로 고속철도로 연결시켜 주는 인천발 KTX 직결사업을 추진한다 . 2017 년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하여 2020 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다 . 당초 개통 목표보다 1 년 더 앞당긴다고 한다 .

인천 ~ 강릉 고속화철도 ( 동 · 서간선철도 ) 도 추진되고 있다고 하였다 . 이 사업이 완료되면 강릉까지 1 시간 50 분대 이동이 가능하여 2023 년경 전국을 1~2 시간대 이동이 가능하다 .

두 번째로 제시된 실현계획은 “ 서울과 수도권 오고 가는길이 , 확 빨라진다 .” 이다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B 노선 ) 사업이 지난 6 월 국토부 제 3 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된 이후 17 년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2023 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한다 .

도시철도 2 호선을 김포시와 시흥시로의 연결을 추진한다 . 김포시와 시흥시를 연결함으로써 광역도시로서 거점도시 역할을 모색한다고 한다 .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이 본격추진된다 . 문학 IC 에서 도화 IC 까지 지하도로를 건설하여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과 연결하고 경인고속도로 주변지역 개발사업 및 기본구상 (’18 년 ) 을 통해 대체도로 , 상부구간 활용 방안 ( 공원 및 공공시설 가용용지 24 만 ㎡ ) 등 일반도로화 실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

서창 ~ 계양 ~ 김포간 새로운 고속도로 연결은 민자사업 유치를 통하여 추진한다 .

제 2 외곽순환고속도로 인천 ~ 김포 · 안산구간을 건설한다 . 김포구간은 ’17. 3 월 준공을 앞두고 있고 안산구간은 ‘18 년 착수 목표로 추진한다 .

세 번째로 제시된 실현계획은 “ 인천시민이 편리한 내부교통망 완성 .” 이다 . 유시장은 인천시는 그동안 항만과 공항을 중심으로 수도권중심의 동서교통망이 발달되어왔으나 진지하게 인천시 내부의 교통망을 고민한 적이 없다면서 , 시민들이 이용하기 편한 내부 순환 교통망을 만들겠다고 했다 .

도시철도망 계획이 추진된다 . 인천도심을 순환하는 인천 2 호선 ~ 수인선 ~ 인천 1 호선 ~ 경인선 ~ 서울 7 호선을 연결하여 원 · 신도심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대순환선을 추진한다 . 이날 발표에서 유시장은 59.6Km 전구간을 동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 한정된 재원으로 사업에 제약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면서 대순환선 1 구간인 인천대공원에서 송도구간을 우선 추진할 뜻임을 내비쳤다 .

서울 7 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도 추진한다 .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중으로 금년내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연내 완료되면 , ‘17 년 도시철도기본계획 승인 고시 후 착공할 계획임을 밝혔다 .

1 호선 검단연장도 추진된다 . 계양역과 검단새빛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사업시행자가 사업비를 부담하여 ’19 년 공사 착공한다 .

경인고속도로 주변개발과 연계하여 송도국제업무지구에서 용현학익지구 , 1 호선 작전역을 노면전차 * 로 잇는 In-Tram 을 추진계획이다 . 이사업은 인천시 최초로 도입하는 사업이다 .

* 노면전차 : 도로 노면과 레일면을 동일하게 부설하고 , 자동차와 철도차량을 동시에 주행시키는 철도를 말한다 . 도시 미관에도 좋고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로 달리기 때문에 소음과 매연이 없는 친환경 녹색교통수단이며 , 일반 도로에 레일을 설치하고 별도의 역사없이 버스 승강장 규모면 되기 때문에 건설비도 지하철의 20%, 경전철의 1/2~1/3 수준임

동서 4 개 도로와 남북 4 개 도로가 연결되는 고속도로 미연결 (Missing Link) 구간을 연결하여 2 개의 내부 순환망을 구성한다 . 인천시는 그동안 주요 외곽도로가 미연결 되어 기능을 하지 못했다 .

제 3 연육교 사업은 전환교통량 등 건설을 위한 최적 건설 방안을 12 월까지 분석 마련하여 국토교통부와 협의하여 추진한다 .

이날 교통주권 설명회는 4 대 주권사업 중 첫 번째로 개최된 것으로 교통주권에 대한 유시장의 사업추진 의지를 엿 볼수 있었다 . 향후 재원 투자계획까지 수립하여 교통주권 계획의 실현가능성을 높였다 .

유정복 시장은 “ 교통주권 발표로 시민이 행복한 인천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으며 , 인천의 꿈이 대한민국의 미래가 되도록 교통주권을 잘 실현 될수 있도록 하겠다고 ”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