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다가스카르, 이상과 현실이 공존하는 미지의 땅

823


소혹성 B612 를 온통 엉망으로 만드는 무서운 식물이 있다 .” 어린 시절 누구나 읽었을 생텍쥐페리의 동화 [ 어린왕자 ] 에 나오는 구절이다 . 그런데 그 무서운 식물이 지구에 존재한다면 ? 상상 속의 식물 같은 이 나무를 실제로 보고 싶다면 이상과 현실이 동시에 존재하는 그곳 마다가스카르로 가보자 .

마다가스카르의 수도 안타나나리보.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섬나라 마다가스카르.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식어는 프랑스어와 말라가시어이다.
세계에서 4 번째로 큰 섬나라
마다가스카르 . 분명 많이 들어봤다 . 고급 양주 이름 같기도 하고 스페인 귀족의 이름 같은 , 최근에는 드림웍스의 애니메이션으로 선보인 곳 . 그곳은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에 있는 세계에서 4 번째로 큰 섬나라 마다가스카르다 . 약 2000 여 년 전 옛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계절풍을 타고 이곳에 도착했다고 하는데 , 그래서인지 인종적으로 흑인보다 동남아시아 사람과 비슷한 현지인들을 만날 수 있다 . 주식도 쌀이라고 한다 . 공식어인 프랑스어 외에 쓰는 말라가시아어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말레이시아어와 상당히 비슷하다 .
가장 가까운 모잠비크까지의 거리가 약 400km. 이렇게 수십만 년 동안 고립됐던 이곳은 우리가 평소에 보지 못했던 동 , 식물로 가득하다 . 전 세계의 생물 20 만종 중 75% 는 이곳에서만 볼 수 있다고 한다 . 굳이 표현하자면 사람이 함께 사는 DMZ 라고 해야 할까 ? 사람도 마찬가지다 . 이곳에는 몇 세대에 걸쳐 프랑스인부터 중국인 , 인도 파키스탄인 기존의 말레이인 등 서로 다른 18 개의 민족이 모여 산다 . 그래서 믿는 종교도 다 다르지만 아무런 마찰 없이 평온하게 공생한다 .
마다가스카르는 농업이 중심산업이며 최대 수출품은 커피이다. 주민들 대부분은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워낙 섬의 규모가 크다 보니 날씨도 지역에 따라 다른데 , 주로 북쪽은 여름철 (12 월 ~4) 월에는 장마철이고 동절기 (5 월 ~ 10 월 ) 때는 건조한 날씨가 계속 된다 . 하지만 남부 쪽은 반 사막기후대의 날씨가 계속 되어 겨울에도 6 도 이하도 내려가지는 않는다 . 이곳을 여행할 경우 어쩌면 4 계절 옷을 모두 가져가야 할지도 모르겠다 .
섬 가운데에 수도 안타나나리보가 있는데 , ‘ 천인의 무사 마을 ’ 이라는 뜻을 가진 수도 안타나나리보는 대부분의 아프리카 나라들이 그렇듯 1960 년까지 식민 잔재 속의 많은 건물들이 아직 남아 있어 주변 자연 환경과 함께 신비감이 더하다 . 농업이 중심인 산업구조 덕에 이 나라의 최대 수출품은 커피로 수출총액의 45% 나 차지한다 . 최근 들어 도시화로 인해 점점 희귀 동식물들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것은 마다가스카르의 가장 큰 고민이다 .

하늘에서 내려다 본 마다가스카르. 지각운동으로 아프리카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위치에 있게 되었다. 베마라하 자연보호구역과 그랑칭기 등 마다가스카르에는 자연이 만들어낸 진기한 장관으로 가득 차 있다.
마다가스카르의 상징 , 바오밥나무와 그랑칭기
수십만 년 전 인간이 땅에 존재하기도 전에 마다가스카르는 지각운동으로 아프리카에서 분리되어 현 위치에 있게 되었다 .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그곳 동 , 식물은 수백 년 동안 진화에 진화를 거듭할 수 있었다 . ‘ 마다가스카르의 상징 ’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바오밥나무다 .
바오밥나무는 총 8 종류로 아프리카의 몇몇 국가와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일부분에서 자라기는 하지만 마다가스카르의 바오밥나무처럼 높고 , 굵고 , 군집을 이루며 자라나는 것은 이곳이 유일하다 . 티 없이 맑은 하늘을 떠받히는 듯 한 바오밥나무를 볼 수 있는 곳이 서부 쪽 해안도시 ‘ 모론다바 ’ 다 . 이곳이 오랜 삶의 터전이었던 부족들을 이 나무를 신성시하기 때문에 다른 나무는 베어도 바오밥만은 함부로 베지 않는다고 한다 . 자연을 사랑하는 부족들의 마음을 우리 같은 필부들이 얼마나 따라갈 수 있을까 ?

마다가스카르의 상징적인 나무인 바오밥나무. 옛 부족들은 바오밥나무를 신성시 여겨 함부로 베지 않았다고 한다.
해안 도시이기도한 모론다바는 아름다운 해안가의 운치에 비해 사람이 없다 . 너무 없어서 을씨년스럽기까지 하다 . 현지인들은 아프리카인 특유의 태평스러움이 베었는지 관광객들에게 호객행위를 하지 않는다 . 그래서 관광객으로써는 편안하다 . 편안이 구경하고 자기만의 사색을 즐길 수 있다 .

마다가스카르는 한걸음 나아갈 때마다 신세계의 연속이다 . 베마라하 자연보호구역이 꼭 그렇다 . 오랜 세월 비와 바람이 만들어낸 작품인 그랑칭기는 바위들은 마치 자신이 자연이 수십 년의 세월에 걸쳐 만들어낸 야외 미술관에 온 기분이 든다 . 병풍처럼 끝없이 이어진 바위산맥이 마치 동양화 한 폭을 보는 듯하다 . 1500 년 전 이곳에 살던 초기 원주민 바짐바족이 뾰족한 바위 탑이 솟아있는 형상들을 보고 발끝으로 걷는 모양을 떠올리며 ‘ 칭기 ’ 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 실제로 보더라도 그 위태위태한 위세는 놀라움의 연속이다 . 18세기 전세계 해적들의 경유지였던 마다가스카의 아름다운 해안
항상 평온했을 것 같은 마다가스카르 , 하지만 18 세기 만해도 전 세계 해적들의 경유지였다 . 마다가스카르 옆의 작은 섬 생 마리는 17, 18 세기 유럽 해적들이 동인도 근해에서 노략질을 일삼고 복귀할 때 지름길이던 마다가스카르의 해안을 선호했었는데 , 파도가 평상시 잔잔하고 신선한 과일이 많아 그 당시 최고의 경유지였다고 한다 .

하지만 이제는 이름 모를 수많은 해적들의 비석들이 옛 부귀영광을 쓸쓸히 대변해줄 뿐이다 . 인도양의 청정한 바다와 화창한 날씨 그리고 아름다운 석호는 스쿠버 다이버들에겐 또 다른 매력이다 . 바다 깊숙한 어딘가 그 옛날 해적이 숨겨놓은 금은보화를 발견할지 누가 알겠는가 ?

모론 바다의 모습. 마다가스카르는 18세기 해적들이 이동하는 노선의 경유지였다.
서두에 밝혔듯이 마다가스카르에는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동물들이 많다 . 섬에 사는 여우원숭이는 언뜻 봤을 때 코가 앞으로 삐죽 나온 것이 , 여우처럼 생기기도 하고 원숭이처럼 생기기도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원래 지상에서 네발로 다니던 포유류가 나무에서 생활하려고 진화하기 시작하는 , 현재 진행형인 진화과정을 목격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

여우원숭이들은 익숙해져서 그런지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는다 . 사람들은 벌목을 한다며 그들의 터전을 자꾸 없애 가는데 순진한 원숭이들은 그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사람들에게 다가가 머리를 쓰다듬으며 재롱을 부린다 .

이런 심각성을 자각한 정부에서는 자연환경 파괴에 대한 제재를 가하기 위해 나라 안 수십 군데에 국립공원을 지정하지만 국립공원 근처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생활고에 시달려 나무를 벨 수밖에 없다 . 요리를 위해 숯을 사용하는데 이곳 주민들은 땔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살아가면서 자연과의 상생은 이렇게 깨지고 마는 것일까 ?

한적하고 여유로운 마다가스카르의 일상 풍경과 천진난만한 그곳의 어린 아이들.

한적하고 여유로운 마다가스카르의 일상 풍경과 천진난만한 그곳의 어린 아이들 .
“ 나쁜 식물의 싹이면 눈에 띄는 대로 뽑아 버려야 한다 . 어린 왕자의 별에는 무서운 씨앗들이 있었다 . 바오밥나무의 씨앗이었다 .” [ 어린 왕자 ] 에서 나오는 구절이다 . 어린왕자의 별에는 바오밥나무가 몹쓸 존재다 . 하지만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별에는 바오밥나무 뿐만이 아니라 이 세상 모든 동 식물이 소중하다 . 마다가스카르를 여행하면서 그것을 직접 보고 , 느끼고 , 깨우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