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원)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올해 2월 대학 졸업자 및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졸업 이후 계획을 묻자 ‘아르바이트 구직 및 근무’에 대한 응답이 34.5%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
2월 졸업생 10명 중 3명 이상이 졸업 이후에도 기존에 근무하던 알바를 지속하거나, 신규 알바 자리를 구할 예정이라 답한 것이다. 이는 ‘어학 성적 갱신, 자격증 취득 등 취업준비(17.0%)’나 ‘정규직 구직 활동(13.5%)’ 등보다 높은 응답률이다.
지난해 동일 조사와 비교해도 ‘아르바이트 예정’이란 답변은 11.0%p 늘었는데 ‘정규직 구직 활동에 전념’할 계획이라거나 ‘이미 정규직 취업에 성공해 출근 중이거나 출근 예정’이란 응답 비중은 각각 2.7%p, 1.7%p 줄었다.
졸업 이후 아르바이트를 계획하는 이유는 ‘금전적’ 요인이 가장 컸는데, ‘당장의 생활비, 용돈(45.8%, 복수응답)’ 외에도 ‘취업 준비 비용(37.3%)’을 마련하기 위함이란 응답 비중도 상당했다.
이와 함께 ▲취업난으로 인해(20.3%)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15.3%) ▲별다른 계획을 세우지 못해서(15.3%) 등의 답변도 이어져 졸업 후 구체적인 방향성이나 계획을 세우지 못해 아르바이트에 뛰어드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졸업 후 근무를 희망하는 알바 업직종은 ▲외식·음료(37.3%, 복수응답) ▲서비스(20.3%) ▲유통·판매(16.9%) ▲문화·여가·생활(8.5%) ▲사무·회계(5.1%) 순으로 집계됐으며, 아르바이트를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급여’와 ‘근무 시간’을 45.8%(복수응답)의 응답률로 가장 많이 꼽았다.
졸업 후 아르바이트 근무 기간에 대해서는 ‘3~6개월 가량’이 35.6%로 가장 많았지만, 1년 이상 알바를 하겠다는 이들도 11.9%에 달했다.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향후 ‘정규직 취업’에 도전할 계획을 묻는 질문에도 20.3%는 당분간 정규직 취업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한편, 2월 졸업 예정이었으나 졸업을 유예했다고 응답한 45명은 대다수가 ‘취업·진로’에 대한 고민을 이유로 들었다. ‘졸업 요건을 갖추지 못해서(33.3%, 복수응답)’라는 응답에 뒤이어 ‘졸업 후 진로에 대해 결정하지 못해서’와 ‘취업 전 공백기를 줄이기 위해서’라는 답변이 각각 26.7%, 17.8%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