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 “주한미군 감축 계획 없다”… WSJ 보도 정면 반박

(미디어원=이진 기자) 미국 국방부가 최근 보도된 ‘주한미군 4,500명 감축 추진설’에 대해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5월 23일(현지 시각)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국방부는 “해당 보도는 사실이 아니며, 한반도 방어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전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단독으로 보도한 주한미군 감축 검토설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감축 계획 없다” 공식 확인
이날 브리핑에서 션 파넬(Sean Parnell) 미 국방부 수석 대변인은 “주한미군 감축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국방부는 어떠한 병력 감축도 계획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은 한국 방어에 대한 철통같은 약속을 지키고 있으며, 다음 한국 정부와도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WSJ는 하루 전 보도에서 “미 국방부가 주한미군 병력 중 약 4,500명을 줄이고 일부를 괌과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보도 이후 한국과 미국 내 일부 언론은 해당 내용을 인용하며 향후 동북아 전략 변화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하루 만에 “사실 아니다” 공식화
특히 주목할 점은 국방부가 WSJ 보도 직후인 22일에는 “현재 발표할 내용이 없다(nothing to announce today)”는 입장만을 밝히며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하루가 지난 23일에는 한층 단호한 어조로 “감축은 없다”고 못 박으며 논란을 일축했다.

이는 언론 보도로 인해 불필요한 외교적 오해나 동맹국 내 혼란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실제로 브리핑 도중 파넬 대변인은 “한미동맹은 인도태평양 안정의 핵심이며, 그 기반에는 변함없는 주한미군의 존재가 있다”고 강조했다.

군사적 현실과 외교적 메시지
전문가들은 이번 발표가 단순한 언론 보도 반박을 넘어, 전략적 수준에서 한미동맹의 지속성과 미국의 아시아 방위 태세를 확인한 의미가 있다고 분석한다.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펜타곤이 공식 브리핑을 통해 신속히 입장을 밝힌 것은, 한국 정부와 국민에게 확실한 안보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라고 평가했다.

또한, 이는 2024년 말 미국 대선 이후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동맹국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조치로도 볼 수 있다. 미국은 현재 중국 견제, 우크라이나 전황, 중동 확전 등 다층적 전선을 유지 중이며, 아시아 지역 병력 재배치는 민감한 외교 사안으로 떠올라 있는 상황이다.

정리된 사실, 분명한 메시지
이번 발표로 현 시점에서 주한미군 감축은 없다는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이 명확해졌다. WSJ 보도는 ‘검토 수준’의 내부 논의를 과도하게 해석한 측면이 있으며, 국방부는 이를 하루 만에 차단함으로써 정책 혼선을 조기에 정리했다.

한미 양국은 오는 6월 예정된 정상회담을 앞두고 국방·안보 협력을 포함한 여러 의제를 조율 중이다. 주한미군 관련 논의는 향후에도 언론과 정치권에서 반복적으로 제기될 가능성이 있지만, 미국 정부의 이번 입장 표명은 그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