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역사 뒤로 걷는 현대적 발걸음

독일 프랑크푸르트

라인마인 지방 관광의 거점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프랑크푸르트’는 전통과 현대, 역동성과 차분함이 대조되는 다양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도시다. 11시간 비행 뒤 도착한 이곳에서는, 마인 강변에 줄지어 들어선 고층 빌딩과 현대적인 프랑크푸르트의 거리를 볼 수 있다.
한편 역사적 건축물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중세의 향기를 오롯이 맡을 수도 있다. 그 뿐 아니라 세계적인 대문호 괴테의 문학적 정취가 느껴지는 이곳은 이미 독일을 넘어 유럽의 중심도시가 되었다.
# 오래됨과 새로움이 공존하는 도시
프랑크푸르트의 하우프트 반호프(Hauft bahnhof)에서부터 시작되는 중심거리에는 화려한 고층빌딩들이 즐비하다. 하지만 그 거리를 계속해서 걷다보면 현대적인 분위기와는 상반된, 중세의 거리가 나타난다. 도시의 오랜 역사가 자연스럽게 스며든 이곳은 프랑크푸르트의 수많은 발자국들이 이어져 고전과 현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져있다. 프랑크푸르트만의 독특한 매력이 도시 곳곳에 펼쳐져 있다. 걸어도, 혹은 멈춰 있어도 그곳이 바로 역사의 한 공간을 차지한다. 역사와 조우할 수 있는 더없이 소중한 순간들이다.
사실 세계의 수많은 여행자들이 유럽을 원하는 것은 그들의 역사와 그 흔적들을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기 때문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광대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역사는 자연스레 잊혀지고, 사라지기 마련이지만 남아있는 역사적 흔적들의 조각들은 한데 모여 그 다음 역사를 향해간다. 유럽 심장부의 메트로폴리스라고 불리는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또한 그 역사가 도시 곳곳에 만연해 있다.
#도시 중심이 간직한 중세의 문화
프랑크푸르트에서 중세의 거리를 만나보고자 한다면 그 시작점에는 뢰머베르크가 있다. 뢰머 광장을 이루는 뢰머 시청과 역사적인 시내 광장에서는 중세 독일 특유의 분위기가 느껴진다. 광장에 접하고 있는 3개의 건축물은 폭이 좁고 지붕을 계단식으로 뾰족하게 깎아 내린 것이 특징.
정 중앙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 뢰머 시청으로, 신성 로마제국시대에는 황제의 대관식 후의 축하회장으로 쓰였다. 오늘날까지도 시장이 사용하는 건물이다. ‘황제의 방’에는 칼 대제 이후 52인의 독일 황제의 초상화가 나란히 걸려 있어, 황제들의 역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광장 중앙에는 정의의 여신, 유스티티아(Justitia) 청동상이 있다. 유스티티아는 정의와 법을 담당하는 로마의 여신으로, 정의를 뜻하는 영어 ‘져스티스(Justice)’는 이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오른손에는 검을, 그리고 왼손에는 저울을 들고 있는데, 광장과 시청을 오가는 사람들이 이를 바라보며, 법적인 정의의 올바른 발현을 소망하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뢰머 광장을 조금 넘어서면 카이저 돔 대성당이 나온다. 프랑크푸르트에서 가장 큰 성당이라는 사실이 실감될 정도로 웅장한 멋을 자랑한다. 9세기에 완공되었고, 1562년 이후 모두 열 명의 황제들이 이곳에서 왕관을 머리에 썼다고 한다. 95m 높이의 첨탑 위에서는 프랑크푸르트의 크고 작은 건물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대성당 앞에는 연극무대가 설치되어 있다. 결코 크지 않은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소박한 연극,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비록 소수였지만, 사람들의 눈빛만은 정열적으로 빛나고 있었다. 이 작은 무대에서도 예술적인 향취를 충분히 만끽할 수 있었던 순간이었다.
대성당에서 조금만 걸으면 마인(Main)강이 보인다. 강변 벤치에 앉아 사람들을 구경한다. 근처 벤치에서 사랑을 속삭이는 연인들, 한가로이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 강아지와 함께 가벼운 조깅을 하는 사람들. 서울 한강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지만, 프랑크푸르트에서 느끼는 낯선 정겨움은 더욱 크다. 현대적 건물들이 가득한 도시지만, 이곳에서는 결코 도시의 번잡한 소음이 들리지 않는다.

#상큼한 ‘에벨바이’를 마시고, 괴테를 만나다
작센하우젠으로 가기 위해 마인강의 다리를 건넌다. 다리 너머에서는 연인들과 친구들이 페달로 움직이는 보트를 타고 있다. 왠지 모르게 한강의 백조보트가 떠올라 웃는다. 그 생각을 읽은 듯 사람들이 타고 있는 보트 근처에서 흰 백조가 유유히 헤엄치고 있다.
눈부신 태양은 마인강의 빛을 확연히 드러내고 있다. 해는 이미 저물어 가기 시작하고 있다. 짧지 않은 거리를 걸어 도착한 작센하우젠이지만, 다른 무엇보다도 허기진 배를 채우기 위해 어디든 들어가야 한다.
질서정연한 목골가옥들이 아기자기하게 들어선 알트-작센하우젠(Alt-Sachsenhausen)에는 사과주 주점들과 다양한 맛집들이 가득하다. 좁은 골목길이지만, 보기보다는 번잡하지 않아 천천히 들어설 수 있다.
이윽고 입구에 빨간 글씨체로 ‘에벨바이(Ebbelwei)’라고 쓰여 있는 전통 음식점에 들어선다. 우선 간단히 소시지와 맥주를 주문한다. 독일의 소시지가 유명한 건 이미 모두가 아는 사실! 한국의 소시지와는 달리 느끼하지 않기 때문에 정말 고기를 먹는 것 같이 맛있다. 마찬가지로 유명한 독일 맥주는 도시 혹은 마을 단위로 맥주를 담그는 법이 달라 도시 특유의 감성이 투영된 환상적인 맥주를 마실 수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요리를 만끽할 차례다. 슈바인학센은 우리나라의 족발과 거의 비슷한 요리로 당근과 샐러리, 양파 등과 곁들여 나오기 때문에 맛이 담백하고 웰빙 음식으로도 알맞다. 또 다른 족발요리인 아이스바인은 소금에 절인 돼지 뒷다리를 맥주에 삶은 다음 향신료를 첨가한 요리. 돼지고기의 누린내가 적고 육질이 부드럽게 씹힌다. 양배추를 식초에 절인 싸와크라우트와 감자, 양파 드레싱이 함께 나와 푸짐한 식사를 이어갈 수 있다.
부른 배를 문지르며 한탄하고 있기엔 아직 부족하다. 이번엔 프랑크푸르트의 명물인 사과주 ‘에벨바이’를 마셔볼 차례. 프랑크푸르트의 전통 사과주의 역사는 250년을 거슬러 올라가야 할 정도로 오래됐다. 느긋한 포근함에 휩싸여 마시는 사과주는 톡 쏘는 상큼함과 친절한 사람들의 따뜻한 시선까지 아우른다. 빵과 과자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브레첼 빵의 짭조름한 맛도 곁들이면 사과주와 함께 최상의 궁합이다.
배도 부르니 이제는 세계적인 대문호를 만나러 가야 한다. 다시 마인강을 건너 마인타워 등 다수의 고층빌딩을 지나치면(우리나라에도 고층빌딩은 많으니 일단 지나치도록 하자) 알테 오퍼 근처에서 ‘괴테 하우스(Goethe House)’를 발견할 수 있다.
이곳은 문호 괴테가 태어난 곳으로, 대학에 입학가기 전까지의 16년을 보낸 집이다. 괴테가 직접 쓴 원고나 초상화가 잘 전시돼 있어 독일인들이 괴테를 얼마나 사랑하는가를 느낄 수 있다. 그의 대표작 ‘파우스트’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이곳 4층에서 쓰였다고 한다. 왠지 모르게 엄숙하고 숙연한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은 대작가의 문학적 열정과 혼을 온전히 느낄 수 있어서가 아닐까.

#잠 못 이루게 하는 도시의 매력

호텔에 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들러야 할 곳은 바로 하우프트바혜(Hauptwache)다. 중앙역에서 S반으로 두 번째 역에 위치해 있어 지리적으로도 편리하고 쇼핑의 중심지로도 인기 있다.
이어지는 거리를 조금 걸으면 쇼핑하는 사람들로 성황을 이루고 있는 곳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곳이 바로 보행자 천국인 자일 거리다. 300m에 달하는 긴 거리의 양쪽으로 카르티에나 티파니, 스와로브스키 등 고급 부티크 상점들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쇼핑 거리는 고급상점뿐 아니라 백화점에서부터 단일품 매장까지 각종 쇼핑시설이 들어서 있어 독일에서 물건이 가장 ‘잘 팔리는’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쇼핑까지 마치면 몸은 이미 지쳐있는 법. 하지만 좀 더 프랑크푸르트의 거리를 느끼고 싶어 거리를 활보한다. 이미 해가 저물어 사방은 어둑어둑하다. 인구수가 60만에 불과한 자그마한 도시지만, 밤의 거리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화려하고 소란스러운 네온사인이 비교적 적은 고즈넉하고 운치 있는 저녁 산책이다.
중세의 향기는 다양한 표정으로 스스럼없이 다가온다. 현대적인 고층 빌딩들보다 대성당 앞에서의 소박한 연극, 작센하우젠 술집에서 바라본 사람들의 친절한 눈빛, 그리고 아름답게 꾸며진 괴테하우스가 더욱 인상에 남는 건, 전통의 소중함을 절실히 느낄 수 있어서가 아닐까.
프랑크푸르트는 유럽 최대 규모의 공항이 있어서, 전 세계에서 비즈니스맨들이 몰려드는 국제무역과 금융의 도시로 유명하다. 반면 이 도시는 전통을 수호하고, 문학과 예술을 사랑하는 소박하지만 열정적인 사람들이 모여 있는 애정이 넘치는 풍족한 도시였다.
몸은 어느새 호텔로 향하고 있지만, 오늘밤은 왠지 쉽게 잠이 오지 않을 것만 같다. 이 도시를 조금이라도 더 바라보고 싶다. 오늘 걸었던 그 모든 곳들도 이 도시에선 이미 역사가 되고 있을 테니까.
독일로 가는 길
서울(인천)에서 출발하는 프랑크푸르트 직항편을 독일 항공, 대한 항공, 아시아나 항공이 각각 매일 운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