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츠와 닥터만 커피 박물관’ 박종만 관장

486

커피박물관 '닥터만 왈츠'의 박종만 관장
커피와의 인연은?
1989년 디자인회사를 경영하던 중 일본 나고야 엑스포에 갔는데 그 곳에서 정신이 번쩍 드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나는 ‘왈츠’라는 커피전문점과 공장을 방문했는데 공장문을 여는 순간 눈앞에 펼쳐진 광경에 깜짝 놀라고 말았다. 그것은 정말 내 인생에 처음 보는 별천지였다. 커다란 기계와 짙은 커피향기, 연기 등을 눈과 코 귀로 보고 듣고 느끼면서 나는 커피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한국에 돌아오자마자 나는 커피재배와 커피전문점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왈츠’ 매장을 열었다.

커피박물관은 언제 생각했는지?
커피에 빠져서 살게되다보니 점점 커피에 대한 호기심으로 머릿속이 꽉차올랐다. 하지만 알면 알수록 커피에 대한 나의 지식은 점점 바닥이 났다. 나는 갈증이 났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격적인 공부를 시작했다. 그래서 세계를 돌아다니며 커피공부를 하게 된 것이다. 박물관도 자연스럽게 구상하게 되었다. 먼저 이곳에 ‘왈츠와 닥터만’이란 커피전문점 겸 레스토랑을 열었고 1996년부터 하나씩 준비를 해서 8년만에 문을 열게 된 것이다. 이 박물관을 통해 커피에 대한 정보, 역사, 문화를 많은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었다.
한국의 커피문화는?
국회 도서관 자료를 뒤지다가 1886년 선교사 알렌이 궁궐에서 커피를 대접 받은 사실이 기록된 문헌을 발견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커피가 들어온지 약 100년이 넘은 것이다. 하지만 외국에 비해서 우리의 커피문화는 일천하다. 가까운 일본 만해도 100년 된 커피전문점이 존재하는데 우리는 없다. 게다가 커피를 제대로 가르치는 곳도 전무하다. 우리의 커피문화는 다방문화와 수입브랜드 커피전문점으로 대표될 정도다. 한마디로 부끄럽다. 우리가 내세울 수 있는 커피문화가 과연 있기나 한 것인지 묻고싶다.
우리나라에서 커피문화가 발전하려면?
무엇보다 전통을 세워야 한다. 가계를 잇는 장인이 나와야 하고 커피의 전 과정을 꿰뚫고 있는 커피전문가가 많이 양성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후반 몇 개의 과정을 마스터하는 바리스타만을 최고로 여기는 풍토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국내커피회사들이 정말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해야 한다. 커피학교와 커피박물관 그리고 커피장학금 등을 통해 사회에 환원하는 일을 게을리 하면 안될 것이다.

앞으로 커피박물관과 향후 계획은?
커피박물관은 당분간 지금의 방향대로 운영하다 나중에 제2박물관을 설립하고 싶다. 그리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커피로드를 따라 커피탐험대를 조직해 떠날 것이다. 그리고 커피재배와 연구에 몰두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희망이 있다면 커피대학 설립과 후계자 양성 그리고 커피 잔의 주인이 빨리 나타나 주기를 바란다.

개관시간 : 오전 10시30분에서 오후 6시까지(월요일 휴관)
입장료 : 대인 5천원,소인(초등학생까지) 3천원
문의 : 031-576-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