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대신 청소와 빨래를 도맡아 하고 , 노인을 간병하며 , 깊은 바다에서 탐사 활동을 벌이는 로봇들 . 첨단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영화와 TV 에서나 보던 장면들이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 . 로봇이 보편화되는 미래 사회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
경북 포항시 한국로봇융합연구원 1 층에 자리한 로보라이프뮤지엄은 로봇을 활용한 주거 생활과 미래 로봇 환경을 구현한 이색 박물관이다 .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평상시 로봇을 접하기 어려운데다 , 이곳에서는 전시물을 직접 만지고 조작해볼 수 있어 아이는 물론 어른들도 흥미로워한다 . 전시된 로봇 중에는 실용화되어 가정이나 산업 현장에서 이용되는 것도 있다 .
제 1 전시실 ‘ 지능로봇 흥미관 ’ 은 지능로봇이 우리 생활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알 수 있는 공간이다 . 전시실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병원이나 양로원에서 심리 치료용으로 쓰이는 물개 로봇 ‘ 파로 ’, 4 족 보행 로봇 ‘ 번룡 ’ 이 반겨 맞는다 . 인형처럼 생긴 파로는 만지거나 쓰다듬으면 눈을 깜빡이고 고개를 드는 등 여러 가지 반응을 보이는데 , 이때마다 아이들은 신기해하며 탄성을 지른다 .
가장 인기 있는 로봇은 ‘ 제니보 ’ 다 . 국내에서 최초로 제작된 지능형 로봇 강아지로 , 스스로 돌아다니고 감정 표현을 하며 코끝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주인을 알아보고 애교도 부린다 . 춤출 때도 흔들기 , 물구나무서기 등 못 하는 동작이 없다 . 휴머노이드 로봇 ‘ 로보노바 ’ 의 군무도 볼 만하다 . 싸이의 ‘ 강남스타일 ’ 에 맞춰 로봇들이 일사불란하게 댄스 동작을 선보이는데 , 섬세하고 호흡이 척척 맞는 군무에 박수가 절로 나온다 .
제 2 전시실 ‘ 지능로봇 체험관 ’ 은 지능로봇의 원리를 이해하고 직접 조작해보는 공간이다 . 이곳에서는 아이 , 어른 할 것 없이 분주하다 . 아이들은 센서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헤엄치는 물고기 로봇 앞에서 떠날 줄 모르고 , 어른들은 무선 축구로봇을 이리저리 조작하며 게임 삼매경에 빠진다 . 권투 로봇은 인기 높은 체험 시설 . 팔다리 관절이 사람처럼 자유롭게 움직여서 로봇들의 권투를 실감 나게 즐길 수 있다 . 호기심 많은 아이들은 로봇의 눈 , 코 , 입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관찰하고 , 감정에 따라 다양한 표정을 짓는 감성 로봇을 따라 하며 즐거워한다 .
제 3 전시실 ‘KIRO 홍보관 ’ 은 한국로봇융합연구원에서 연구 ․ 개발한 로봇을 만나는 뜻 깊은 공간이다 .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유리창 청소 로봇 ‘ 윈도로 ’, 국내 최초로 개발된 다목적 수중 로봇 등이 전시되며 , 이를 통해 첨단 과학이 발전한 미래 사회의 모습도 엿볼 수 있다 .
로보라이프뮤지엄에는 로봇 관련 도서와 물품이 비치된 로보 카페와 화상 강의실 , 로봇 교육실도 있다 . 관람하려면 하루 전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해야 한다 . 오전 10 시부터 오후 5 시까지 (4 시 입장 마감 ) 정시마다 전시 해설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 정오 제외 ), 1 회당 40 명까지 예약 가능하다 . 운영 요원이 동행해 로봇의 원리와 기능 등을 자세히 설명해주기 때문에 어린이들도 어렵지 않게 관람할 수 있다 .
로보라이프뮤지엄 관람을 마치면 주변 관광에 나서보자 . 아이들과 함께라면 포항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이나 포항함체험관에 들러볼 만하다 . 포항시 초입에 자리한 문성마을은 1970 년대 시작된 새마을운동의 초석을 세운 곳이다 . 1971 년 농촌 모범 지역을 시찰하던 고 박정희 대통령이 “ 전국의 마을을 문성동과 같은 새마을로 만들라 ” 고 지시했기 때문이다 . 마을에 건립된 기념관에는 새마을운동과 관련한 각종 자료가 전시되며 , 당시 모습이 디오라마로 알기 쉽게 꾸며졌다 .
포항 시내 동빈큰다리 옆에 자리한 포항함체험관은 2009 년 퇴역한 1200t 급 초계함을 일반에 개방한 것이다 . 함장실 , 기관 조정실 , 전투 정보실 , 통신실 등 주요 공간이 실물 그대로 보존되어 바다에서 해군이 어떻게 생활하는지 생생하게 보고 느낄 수 있다 . 포항함은 2010 년 3 월 백령도 앞바다에서 침몰한 천안함과 제원이 동일하며 , 안보관에 이들을 추모하는 공간도 마련되었다 .
포항함 건너편에 펼쳐진 죽도시장은 포항 여행에서 꼭 한번 다녀가야 할 명소다 . 약 14 만 9000 여 ㎡ 부지에 약 2500 개 점포를 갖춘 동해안 최대의 전통시장으로 , 특히 어시장이 유명하다 . 시장에는 포항 명물인 과메기와 물회 , 대게 , 돌문어 , 고래 고기 등 독특한 먹거리가 많다 . 북부해수욕장과 환호공원에서는 색색의 불빛으로 치장한 공장 지대의 색다른 야경과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다 .
시 외곽에도 가볼 만한 곳이 많다 . 포항시 북부 지역에 자리한 경상북도수목원은 평균 해발 650m 에 조성된 고지대 수목원으로 , 다양한 자생식물이 있다 . 계곡을 따라 폭포들이 줄지어 있는 내연산도 경치 좋기로 유명하다 .
< 당일 여행 코스 〉
해맞이 코스 / 호미곶 해맞이광장 → 국립등대박물관 → 구룡포항 → 죽도시장
첨단 과학 산업 투어 / 포스코 →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경상북도과학교육원 → 포항공과대학교 ( 포스텍 ) → 로보라이프뮤지엄
자연 문화 탐방 / 경상북도수목원 → 내연산 보경사 → 환호공원 → 북부해수욕장
역사 명소 답사 / 포항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 → 죽도시장 → 포항함체험관 → 덕실마을
< 1 박 2 일 여행 코스 〉
첫째 날 / 포항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 → 로보라이프뮤지엄 → 죽도시장 → 포항함체험관 → 북부해수욕장
둘째 날 / 환호공원 → 경상북도수목원 → 내연산 보경사 → 덕실마을
< 대중교통 정보>
[ 기차 ] 서울 – 포항 , 새마을호 하루 2 회 (09:40, 16:05) 운행 , 약 5 시간 20 분 소요 .
서울 – 신경주 , KTX 하루 24 회 (05:30~22:00) 운행 , 약 2 시간 10 분 소요 .
신경주역 ↔ 포항시외버스터미널 , KTX 연계 리무진 버스 운행 , 40 분 소요 .
신경주역 출발 첫차 05:40, 막차 24:25
포항시외버스터미널 출발 첫차 05:00, 막차 23:30
[ 버스 ] 서울 – 포항 , 30 분 간격 (06:00~19:00) 운행 , 약 4 시간 40 분 소요 .
문의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1688-4700, www.exterminal.co.kr
[ 비행기 ] 서울 – 포항 , 하루 4 회 (08:50~16:10) 운항 , 50 분 소요 .
문의 : 한국공항공사 1661-2626, www.airport.co.kr
<자가운전 정보>
경부고속도로 → 김천 JC → 익산포항고속도로 → 포항 IC
<주변 볼거리>호미곶 관광지 , 포스코 역사관 , 포스텍 , 오어사 , 장기읍성 , 국립등대박물관 , 구룡포 말목장성 , 영일민속박물관 , 포항시립미술관 , 구룡포근대역사관 , 중앙상가 실개천